Page 180 고 체육탐구
P. 180
3. 스포츠 언론 관련 직업 적성
스포츠 언론 분야는 평소에 스포츠 정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태도를 가져
야 한다.
⑴ 스포츠 언론 관련 직업 성향
스포츠 언론 분야 공채 시험 스포츠 언론의 대표적인 직업인 기자, 프로듀서, 아나운서, 해설가에게 기본적으로
서류 전형 필요한 자질은 책 읽기와 글쓰기 능력이다. 독서를 통해 배경지식을 넓히고 이를 토
자기 소개서
관심 분야 대로 글을 작성하며, 글 내용을 전달하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학창 시절의 신문 제
경력
계발 계획 작이나 기자 활동, 방송부 경험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대학에서 체육학과, 신문방
송학과, 언론학, 사회학 등을 전공하는 것이 스포츠 언론 진로를 위한 경험과 지식을
필기시험
작문 쌓는 데 도움이 된다.
현장 실무 평가(가상 사건 취재
및 기사 작성 등)
⑵ 스포츠 언론 관련 직업 역량
면접 스포츠 언론 관련 직업을 갖기 위해서는 스포츠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건에 관심
이슈 질문 과 의문을 가져야 하며, 비판적인 사고력으로 관련 내용을 객관성 있게 판단해야 한
자기 소개서 내용 질문
다. 또한, 스포츠 정보를 조리 있게 전달하는 능력, 상황에 대처하는 임기응변 능력,
※ 스포츠 언론 분야 공채 시험은 회사
마다 선발 방식에 차이가 있지만, 일 사람들과 의사소통하며 리더십을 발휘하는 능력이 있다면 스포츠 언론 관련 직업
반적으로 위의 절차를 거친다. 스포츠
상식, 작문 실력, 한국어 능력 시험, 공 역량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인 영어 성적은 기본적으로 준비해야
한다.
스포츠
공정성 및
사건에 대한
객관성
관심
상황 의사소통
대처 능력 능력
◀ 스포츠 언론 관련 직업 역량
비선수 출신의 미국 프로 야구(MLB) 전문 해설 위원 탐구하기, 분석하기
송재우는 어려서부터 주한 미군 방송(AFKN)을 통해 메이저 리그를 즐겨 보았고, 1990년에는 메이저 리그 야구
장을 일일이 찾아다니며 미국 야구를 본격적으로 접하였다. 그 결과 1995년부터 MLB 통신원으로 활동하며 박찬호
소식을 국내에 전하게 되었고, 샌프란시스코 지역 일간지에도 칼럼을 기고하였다. 2006년에는 월드 베이스볼 클래
식(WBC)을 중계하며 야구 해설의 범위를 국내 야구까지 확장하였고, KBO 리그 해설까지 담당하게 되었다.
선수 출신은 아니지만 야구에 대한 열정과 끊임없는 공부로 국내 메이저 리그 해설의 최고 자리에 오른 송재우는
선수 출신이 아닌 까닭에 선수의 심리 상태, 기술적 부분에 대한 전문성 부족을 인정한다. 그러나 숫자를 통한 야구
통계, 유창한 영어 능력 등 자신만의 장점을 활용하여 최고의 해설 위원 자리에 올라섰다.
▲ 송재우 MLB 전문 해설 위원 [출처] 위키백과
스포츠 언론 분야에서 종목별로 최고의 자리에 오른 사람들은 어떤 과정을 거쳤을까?
178 Ⅲ . 체육과 진로 02. 체육과 직업의 유형별 특성 179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178 2018-07-19 오후 3:1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