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5 고 체육탐구
P. 175
체육·스포츠 연구원
체육・스포츠 연구원은 체육 발전을 위해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주로
정부 기관, 민간 기관, 대학 등의 스포츠 과학 연구소에서 근무한다. 활동 분
야는 체육 정책 개발, 국가 대표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 지원, 체육 지도자 및
스포츠 산업 전문 인력 양성, 스포츠 산업 진흥을 위한 연구 등이다. 체육・
스포츠 연구원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의 체육・스포츠 정책을 개발 및 지원하고, 스포츠 경기력 향상을 위한 제도
를 마련한다.
▲ 체력 지원 분석 연구원
둘째 대표 선수 및 엘리트 선수의 기량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건강 증진
및 상해 예방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스포츠 과학화와 경기력 향상을 위해 노
력한다.
셋째 스포츠 용품의 개발 및 인증 규격, 평가 등에 참여하며, 용품의 현장 적합성을 확인
하는 등 스포츠 산업 관련 연구를 수행한다.
특징
성실한 연구 태도와 직무를 충실히 수행하는 책임감이 필요하다.
전공 분야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풍부한 상식을 갖추어야 한다.
새로운 것에 대한 탐구 정신과 호기심이 있어야 한다.
▲ 운동 생리학 연구원
체육·스포츠 연구원이 되려면 …
체육・스포츠 관련 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대학의 체육 관련 학과에 진학한 후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해야 한다. 특히, 대학원 시기에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연구 논문
및 실적을 쌓아야 하며, 전공과 관련된 다양한 경험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체육・스포츠 분야의 대표적인 기관으로는 한국스포츠개발원이 있으며, 대학 부설 체
육・스포츠 연구소로는 스포츠과학연구소, 체육과학연구소, 스포츠의학연구소, 무도연
구소 등이 있다.
● 체육·스포츠 관련 연구원의 일반적인 전형 절차
1차(서류 면접) 입사 지원서, 자기 소개서, 연구 실적 평가
2차(필기 전형) 인성 검사, 직무 역량 평가
3차(면접 전형) 연구 역량 평가, 종합 인성 및 연구 전문성 평가
172 Ⅲ . 체육과 진로 02. 체육과 직업의 유형별 특성 173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173 2018-07-19 오후 3:1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