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3 고 체육탐구
P. 173
5
스포츠 연구 관련 직업
1. 스포츠 연구 관련 직업의 필요성
스포츠의 사회적 역할이 점차 확대되면서 스포츠도 과학적으로 발전하였다. 스포
츠의 과학화는 운동선수의 효율적인 기능 수행을 가져와 기량 향상에 도움을 주었
고, 스포츠를 연구하는 직업의 범위를 확대하였다.
⑴ 운동선수의 경기력 향상
운동선수의 동작을 분석하고 트레이닝 방법을 연구하여 적용하는 스포츠 과학은 스포츠 연구 관련 취업 장소
체육 전문 연구 기관
운동선수의 자세를 개선하고 기록을 향상시켜 경기력에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이 운
기업 부설 연구소
동선수의 강인한 신체와 정신력에 스포츠 과학의 지원이 더해지면 더 높은 수준의 대학교
경기장
향상된 경기력으로 발전한다. 검사실
⑵ 스포츠 정책 개발
스포츠 연구 분야는 운동선수 및 일반 국민들이 필요로 하는 스포츠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개발한다. 스포츠 정책 수립의 필요성, 적절성, 객관성 등의 올바른 판단은
많은 사람들에게 건강 관련 혜택을 가져다준다.
⑶ 스포츠 과학 지식 활용 스포츠 과학 영역
운동 역학: 스포츠와 관련된 움직임
스포츠 연구 관련 직업은 스포츠 경기에서 발견되고 적용되는 다양한 과학적 지식
과 움직임을 일으키는 힘을 전문으로
들을 분석하고 연구하며, 스포츠 관련 역학, 생리학, 심리학, 의학 등의 과학적 지식 다루는 학문
운동 생리학: 단시간 혹은 장시간의
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한다. 운동 자극에 대한 인체 반응 및 적응
과정을 분석하는 학문
스포츠 심리학: 스포츠에서의 심리학
⑷ 스포츠 복지 실현 적 사실이나 법칙을 밝히고, 심리학
적 이론과 기술을 스포츠에 제공하는
스포츠 연구 분야는 스포츠 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스포츠 관련 용품 개 학문
발, 스포츠 대중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특히, 취약 계층과 낙후 지역 사람들에게 운 스포츠 의학: 의학적 지식을 바탕으
로 스포츠와 인체의 관계를 연구하고
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 심신 건강은 물론 의료비 절감 및 삶의 질 향상에 반영하는 학문
기여한다.
| 스포츠 연구 관련 직업의 기능 |
➊ 경기력 향상에 기여 ➋ 스포츠 정책 수립 및 개발 ➌ 스포츠 과학 발전에 기여 ➍ 건강을 통한 삶의 질 향상
170 Ⅲ . 체육과 진로 02. 체육과 직업의 유형별 특성 171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171 2018-07-19 오후 3:1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