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8 고 체육탐구
P. 168









3. 건강 체력 관리 관련 직업 적성

건강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전문가를 통해 체계적인 운동을 하려는 사람이 늘어
나고 있다. 이에 따라 건강 체력 관리 분야 직업의 수요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⑴ 건강 체력 관리 관련 직업 성향

건강 체력 관리와 관련된 직업을 갖기 위해서는 다양한 스포츠와 관련된 현상들
에 관심과 의문점을 가지며, 타인을 가르치기 위한 리더십과 인격, 스포츠의 다양한
대한운동사협회
www.kacep.or.kr 측면에 관심을 갖고 운동을 즐기는 성향, 건강 체력과 관련된 지식에 관심이 있어
야 한다.
신체 운동 능력과 자기 성찰 능력, 문제 해결 능력 등은 건강 체력 관리 관련 직업
을 갖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다양한 학문과 실기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체육 관련 학과와 건강 관리 및 물리 치료학과 계열에 진학해야
한다.


⑵ 건강 체력 관리 관련 직업 역량

건강 체력 관리 관련 분야는 사람에 대한 관찰력과 사물에 대한 호기심이 많아야
하며, 다양한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원만한 대인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또한, 사
람과 현상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관찰력과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과 부상 예방을

위한 분석력과 실천력이 요구된다.






관찰력과 원만한 객관적 배려와
호기심 대인 관계 관찰 능력 존중



▲ 건강 체력 관리 관련 직업 역량



퍼스널 트레이너 관련 자격 탐구하기, 분석하기

퍼스널 트레이너는 미국의 상위 일부 계층에서 시작되었지만 현재는 대중화된 상태이다. 미국의 권위 있는 기관
중 미국체력관리학회(NSCA)와 미국스포츠의학회(ASCM) 등이 자격 연수 교육을 실시한다. 국제 퍼스널 트레이너
자격증(NSCA-CPT, Certified Personal Trainer)은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자격증으로, 연수를 이수했다고 자격증
이 발급되는 것이 아니라 국제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2008년 이후 치러진 시험 합격률이 50 % 정도로 어려운 편이
다. 국내에서는 국제 공인 자격증을 발급하지 않으며, 민간단체에서 운영하는 교육 과정을 이수하고 시험을 통해 민
간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국내의 퍼스널 트레이너 자격 발급 기관과 발급 과정은 어떻게 될까?




166 Ⅲ . 체육과 진로 02. 체육과 직업의 유형별 특성 167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166 2018-07-19 오후 3:18:1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