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7 고 체육탐구
P. 167
















운동 트레이너


운동 트레이너는 운동선수를 훈련시키고 지도하는 직업으로, 크게 퍼스널
트레이너(Personal Trainer)와 선수 트레이너(Athletic Trainer)로 구분한다.

 퍼스널 트레이너: 퍼스널 트레이너는 지속적인 상담과 기초 체력 측정, 체성분 검사 등
을 통해 개인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퍼스널 트레이너를 통
한 운동은 부상 방지, 운동 목적 달성 및 시간 단축, 운동에 대한 동기 부여 효과를 볼
수 있다.
 선수 트레이너: 선수 트레이너는 선수가 부상을 입은 시기부터 복귀 때까지의 회복 기간
에 선수를 스포츠 의학적으로 처치하고 관리한다. 선수 트레이너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 퍼스널 트레이너(PT)
첫째 선수의 부상 정도를 평가하고, 해당 선수에게 맞는 적절한 재활 프로그램을 제공
한다.
둘째 의사의 의료 지침에 따라 각종 스포츠 의학적 검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
해 선수가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현장에 복귀하도록 돕는다.
셋째 팀 관계자들과 지속적으로 긴밀하게 협조하며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징

 국내에서 퍼스널 트레이너는 피트니스 센터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 퍼스널 트레이너는 미국의 비영리 법인 국제 퍼스널 트레이너 협회의 프로그
램을 지원받는다.
 선수 트레이너가 되기 위해서는 트레이닝 자격증을 취득해야 한다.

 선수 트레이너는 강인한 인내력과 포용력, 건강함을 지니고 있어야 하며, 관련 내용
에 대한 최신 정보와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선수 트레이너(AT)


운동 트레이너가 되려면 …

<퍼스널 트레이너>
 국가 공인 자격증: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실시하는 생활 스포츠 지도사 1, 2급 자격증
은 ‘필기-실기-구술-연수’의 과정으로 진행되며, 54개 종목 중 보디빌딩 종목의 자격
증을 취득하면 된다.
 민간 자격증: 대한퍼스널트레이닝협회, 국제퍼스널트레이너협회 등에서 소정의 과정
을 거치면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선수 트레이너>
전문 대학이나 대학교의 체육 또는 물리 치료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다. 선
수 트레이너가 되기 위해 요구되는 국가 공인 자격증은 없지만 민간 트레이너 자격증을
취득할 필요가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선수트레이너협회에서 주관하는 민간 선수 트레이
너 자격증이 있다. 이후 선수 트레이너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경험을 쌓으면 취업에
도움이 된다.





164 Ⅲ . 체육과 진로 02. 체육과 직업의 유형별 특성 165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165 2018-07-19 오후 3:18:1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