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 고 윤리와 사상
P. 9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1 인간의 행복과 질서를 실현하는 원리와 방법은 무엇인가?

1-1 동양 윤리 사상의 연원 37
1-2 한국 윤리 사상의 연원 41
모둠 토론 우리의 바람직한 삶의 목표는 무엇이어야 하는가?

2 사랑〔仁〕에 바탕을 둔 질서 있는 세상은 어떻게 해야 실현될 수 있을까?
2-1 도덕적 마음과 제도적 규범 45
2-2 사물의 이치 규명과 주체의 도덕성 회복 49
모둠 토론 ‘도덕적 마음’인가, ‘제도적 규범’인가?

3 한국 유교는 인간의 심성을 어떻게 이해하였는가?

3-1 도덕 본성의 발현과 일반 감정의 조절 53
3-2 이법적 실체와 마음의 기호 57

모둠 토론 ‘도덕 본성’의 발현인가, ‘일반 감정’의 도덕적 조절인가?

4 괴로움에서 벗어나 자비를 실천할 수 있는 진정한 길은 무엇인가?
4-1 모든 존재의 실체 없음과 의식이 만든 현상 세계 61
4-2 경전의 이해와 본성의 직관 65

모둠 토론 ‘경전의 이해’인가, ‘본성의 직관’인가?

5 가장 바람직한 분쟁 해결 방식은 어떠한 것일까?
5-1 화쟁 사상과 선교 통합 69
5-2 한국 불교의 윤리적 특징 73
탐구 활동 ‘교관겸수’인가, ‘정혜쌍수’인가?


6 영원한 자유와 평등의 세계는 어떻게 해야 실현될 수 있을까?
6-1 노자와 장자의 사상 77
6-2 도교의 성립 및 한국 고유 사상과의 융합 81
모둠 토론 ‘소국과민’의 이상 세계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7 현대 사회에서 한국과 동양의 윤리 사상이 갖는 의의는 무엇일까?

7-1 한국 전통 윤리 사상의 근대 지향성 85
7-2 동양의 이상적 인간상과 시민 90
모둠 토론 유교, 불교, 도가의 가르침은 무엇인가?

단원 학습 흐름으로 보는 동양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7 2018-08-06 오전 11:34:55
   4   5   6   7   8   9   10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