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9 중학교 기술가정 ① 교과서
P. 209











비철 구리 ⇢ 산화 피막
• 전기와 열이 잘 통하고, 녹이 슬지 않
금속 금속 표면이 산화하여 산화물로 덮
는다.
인 것. 알루미늄과 같이 내부의 부식
•강도가 약하지만 가공이 쉽다.
을 보호하는 구실을 한다.
 전선 등

황동
•구리와 아연의 합금이다.
•색깔이 아름답다.
 장식품, 관악기 등




청동
•구리와 주석의 합금이다.
• 강도와 경도가 높아서 마찰에 잘 견
딘다.
 밸브, 청동상 등


알루미늄
•가볍고 전기가 잘 통한다.
• 공기 중에서 산화 피막이 형성되어 녹
이 슬지 않는다.
 음료 캔, 창틀 등



두랄루민
• 알루미늄과 구리, 마그네슘 등의 합금
이다.
•가벼우면서 강도가 우수하다.
 비행기, 경주용 자동차 등


그림 7-16 비철 금속의 종류와 이용


한걸음
‘납’의 두 얼굴

2006년 2월 18일, 미국 미네소타주에 살던 4살 소년 쟈넬은 갑자기 심한 복통으로 병원에 입원하였다. 그리
고 나흘 후, 복통의 원인을 제대로 찾지 못한 채 사망하였다. 쟈넬의 사망 원인은 위장에서 발견된 하트 모양의
작은 펜던트였다. 쟈넬이 실수로 삼킨 펜던트는 납 성분이 무려 99%에 달했고, 자넬은 ‘납 중독’으로 어이없는
죽음을 맞았다. 유독 달달한 맛을 가진 납은 납의 위험을 모르는 아이들에게 더욱 치명적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납은 기술적으로 유용한 측면이 대단히 커서 축전지의 전극이나 무게 추, 탄환에도 쓰이며, 방사선을
막아 주는 재료로도 없어서는 안 되는 자원이다. 실제 2011년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때도 납을 이용해
방사능을 막았다.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인류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도, 목숨을 구할 수도 있는 금속, 제대로
알고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현명한 것은 아닐까? ▲ 납
※출처: 김동환. 배석, 『금속의 세계사』


7. 생산 기술과 제조 기술의 세계 03. 제조 기술의 특징과 발달
206 207





중등기술가정1권-3차제출본.indb 207 2017-07-28 오전 11:59:36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