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0 중학교 기술가정 ① 교과서
P. 210
플라스틱은 석유, 석탄 등에서 추출한 원료로 만든 합성 고분자 화합물로, 열과
플라스틱
압력으로 쉽게 변형할 수 있다. 플라스틱은 유연하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제조 방법
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생활용품에서부터 전자 기기, 의복, 의료용품,
건축 자재, 자동차 부품에 이르기까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플라스틱의 특성
합성 고분자 화합물
•유리나 금속에 비하여 가볍고, 성형하기 쉽다. • 산이나 알칼리와 같은 화학 약품에 잘 견디고 부식
천연의 녹말이나 단백질 등과 같이
•전기와 열을 잘 전달하지 않는다. 되지 않는다.
분자량이 매우 큰 고분자 화합물과
•외부의 충격을 잘 흡수하고, 탄성이 있다. • 유리에 비하여 빛을 잘 통과시키는 것도 있다.
달리, 석유화학의 발전에 따라 석유
•착색이 쉬워 다양한 색깔을 낼 수 있다. • 금속에 비하여 단단한 것도 있다.
나 석탄을 원료로 인공적으로 합성
한 합성 섬유·합성 수지·합성 고무
그림 7-17 플라스틱의 특성
등을 말함.
플라스틱은 열에 대한 성질에 따라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열경화성 플라스틱으로
분류한다.
열가소성 플라스틱 열경화성 플라스틱
• 열을 가하면 녹아서 유연해지고, 유동성이 있어 모양을 변화시킬 수 있 • 굳으면 다시 열을 가해도 녹지 않고, 부스러지거나 기체가 되는 플라스
는 플라스틱이다. 틱이다.
• 재활용이 가능하다. •재활용은 어렵지만 열에 강하고, 단단하다.
그림 7-18 플라스틱의 종류와 이용
한걸음
광분해성 플라스틱과 생분해성 플라스틱
그리스어로 ‘성형하기 쉽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플라스틱은 다양한 형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미생물에 의
태로 우리 주변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은 단단하고 잘 해 분해되는 플라스틱으로, 옥수수 전
썩지 않는 특성을 갖고 있는데, 바로 이 점 때문에 환경 오염과 생태계 파 분을 원료로 만드는 플라스틱과 미생
괴의 주범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그래서 개발한 플라스틱이 광분해성 플 물 몸속의 생분해성 물질을 원료로 하
라스틱과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다. 는 플라스틱(바이오 플라스틱) 등이 있
광분해성 플라스틱은 일정 기간 빛에 노출되면 분해되어 농업용 필름 다. 이러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스낵
이나 농약병 등 농업용 플라스틱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햇빛 류, 라면 등의 포장과 칫솔 손잡이, 종 ▲ 생분해성 플라스틱
의 양이 일정해야 효과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량제 봉투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7. 생산 기술과 제조 기술의 세계 03. 제조 기술의 특징과 발달
208 209
중등기술가정1권-3차제출본.indb 208 2017-07-28 오전 11:59: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