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3 - 2020 도서목록(내지인쇄용)-0716
P. 43
40주제로 이해하는 한국사 사료 독해
신주백 외 8명 차례 Ⅲ. 일 제 식민지 지배와 민족 운동의 2015 고등학교
•판 형 180×240 교과서·관련 도서
•쪽 수 256쪽 Ⅰ. 전근대 한국사의 이해 전개
•가 격 13,000원
•발행일 2019년 5월 14일 01. 고대 국가의 성립과 통치 체제 21. 무단 통치와 토지 조사 사업
02. 삼국 항쟁과 고대 사회의 발전 22.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특징 03. 고대 국가의 종교와 사상 23. 문화 통치와 산미 증식 계획
•40개 주제와 관련된 시각 자료와 도입글 제시 04. 고려의 통치 체제와 대외 관계 24. 비밀 결사와 독립군의 활동
•제 시된 사료를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주요 개념 05. 고려의 변천과 대몽 항쟁 25. 민 족 운동의 분화와 다양한 사회 운동
06. 고려의 사회와 사상 26. 항일 민족 협동 전선과 신간회
과 배경 지식 제공 07. 조선의 건국과 통치 체제 정비 27. 1930년대 국내외 민족 운동
08. 조선의 신분제와 향촌 지배 체제 28. 일제 강점기의 사회·문화의 변동
09. 조선의 대외 관계와 세계관의 변화 29. 민족 말살 정책과 전시 동원 체제
10. 상품 화폐 경제와 신분제의 동요 30. 민 족 운동 세력의 결집과 건국을
Ⅱ. 근대 국민 국가 수립 운동 위한 준비 활동
11. 서구 열강 접근과 조선의 대응 Ⅳ. 대한민국의 발전
12. 강화도 조약과 문호 개방
13. 개화 정책의 추진과 반발 31. 8·15 광복과 남북 분단
14. 갑신정변과 열강의 대립 32.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과 과제
15. 동학 농민 운동과 갑오개혁 33. 6·25 전쟁과 남북 분단의 고착화
16. 대한 제국 수립과 독립 협회 활동 34. 4·19 혁명과 민주화를 위한 노력
17. 일본의 국권 침탈과 침략 확대 35. 5·16 군사 정변과 박정희 정부
18. 항일 의병 투쟁과 애국 계몽 운동 36. 유신 체제와 유신 반대 운동
19. 열 강의 경제 침탈과 경제 구국 운동 37. 신군부 집권과 5·18 민주화 운동
20. 근대 문물의 수용과 근대 문화 38. 6월 민주 항쟁과 민주주의의 발전
39. 경제 발전과 사회·문화의 변화
40. 남북 화해와 평화 통일을 위한 노력
함께 걸으며 생각하는 우리 지역사
차례
신주백 외 7명 수도권 16 목 포·무안·신안 | 개 항으로 근대와
•판 형 180×240 01 강화도 | 열 강의 침략에 온몸으로 맞서다 마주한 눈물의 항구
•쪽 수 264쪽 02 제물포 | 근 대 문물의 별천지, 개항장
•가 격 15,000원 03 북촌 | 민 족 운동의 일번지가 되다 17 여 수·순천·보성·광양 | 여 수·순천
•발행일 2019년 11월 1일 04 정동 | 한 말 구국 운동의 중심이 되다 10·19 사건의격동을 겪은 동네
05 수 원·화성·오산 | 근 대를 잉태한 저항
특징 18 나 주·함평·영광·장성 | 호 남, 의병
•해 당 지역의 주요 인물, 사건, 장소를 상세 설명과 함께 의 도시 전쟁의 주요 무대가 되다
제시(동영상 첨부) 강원·충청권 19 장 흥·강진·해남·진도 | 동 학 농민
•현 장 체험 학습을 위한 답사 계획서 첨부 06 춘 천 | 구국 운동에 여성과 학생까지 혁명의 마지막 격전지
나서다 20 광주 | 세 계 민주 항쟁의 모범이 되다
07 원 주·횡성 | 의 병, 일제의 침략에 맞서 21 제 주 | 평 화와 인권, 통일을 꿈꾸다
일어서다 영남권
08 내 포 지역 | 충 효의 정신, 독립운동가를 22 대 구 | 달 구벌, 저항과 민주화를 향해
기르다 가다
09 공 주·부여 | 백 제의 혼을 담아 일제에 23 안 동·영양·영덕 | 양 반의 고장에서
맞서다 독립운동의 성지로
10 대전 | 교 통의 요지에서 충청의 중심으로 24 문 경·상주·김천·구미 | 독 립을 향한
11 충주 | 국 토의 중심 ‘중원’으로 불리다
12 청 주| 충 청북도 행정·문화·교육의 중심지 다채로운 발걸음
25 부 산 | 임시 수도, 그리고 민주화의
호남·제주권
13 정읍·고창 | 동 학 농민 혁명의 고장 도시
14 전 주·완주 | 쌀 수탈의 아픔을 겪은 농 26 울산 | 산 업화와 노동 운동의 메카
27 창 원(구 마산) | 3·15 의거, 4·19
민들
15 군산 | 근 대 역사와 문화의 보물 창고 혁명의 불씨가 되다
28 밀 양 | 의 열단, 의로운 사람으로 가득
차다
29 진주 | 세 상을 향해 ‘형평’을 외치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국사 관련 도서 |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