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2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152










3 제품 디자이너의 직무

제품 디자이너가 갖추어야 할 역량은 무엇일까?




제품 디자인은 바늘에서 항공기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일상생활 속 생산과 소비라
는 경제 구조 속에서 발생하는 디자인 업무이다. 제품 디자이너는 제품의 외형만 디

자인하는 것이 아니라 상품을 생산하는 과정과 상품을 사용하고 폐기하는 과정까
지 고려해야 한다.
아무리 좋은 제품과 디자인이라고 하더라도 사용자의 사용 환경과 제반 요건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보기 좋은 장식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제품 디
자이너는 사람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자연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한 디자인, 더 많
은 사람을 포용하고 배려할 수 있는 디자인, 궁극적으로 사회를 더 살기 좋은 곳으

로 만들 수 있는 디자인을 목표로 끊임없이 연구하고 분석해야 한다.
제품 디자이너는 디자인 의뢰가 들어오면, 시장 조사를 통하여 소비자의 취향과



제품 디자이너의 직무 과정과 수행 업무

직무 프로젝트 기획 계획 수립 프로젝트 기획 제안 발표 제품 디자인 리서치 기초 제품 디자인 리서치 분석 제품 디자인 제품 디자인 디자인 아이디어 발상 기초 디자인 아이디어 발상 표현
능력 전략 수립 방향 설정 전략 수립 콘셉트 구체화
클라이언트의 요구(needs), 범 수립된 기획서 및 방향을 바탕 전반적인 제품 특성에 대한 시 전반적인 제품 특성에 대한 시 제품 디자인 리서치의 분석 결과 제품 디자인 리서치의 분석 결과 고정 요소와 가변 요소를 구분하 구체화된 아이디어를 시각화하
위(scope), 프로젝트 결과물 으로 제안서(제안 내용, 견적 장 환경의 이해를 바탕으로 경 장 환경의 이해를 바탕으로 경 를 종합하여 제품 개발에 필요한 를 종합하여 제품 구현에 필요한 여 다양한 경험과 새로운 신소재 는 단계로서 다양한 표현 기법을
(output)에 대하여 정확하게 이 서, 일정등) 작성을 위한 준비 쟁사ㆍ경쟁 제품의 현황, 시장 쟁사ㆍ경쟁 제품에 대한 분석, 차별화 요소를 결정하여 제품 전 차별화 요소와 경쟁 포인트 등 와 신기술을 융합하여 넓은 시각 활용하여 제품 아이디어를 전개
직무
해하고 수준을 파악하여 이를 를 하고, 프로젝트를 계약한다. 환경, 디자인 트렌드 등을 파악 디자인 트렌드의 진화 방향 파 략을 수립한다. 구체적 사양을 결정하여, 다음 에서 창의적인 제품 아이디어를 해 나간다.
목적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하고 조사하여 분석 자료의 기 악, 사용자 분석을 거쳐 구체적 단계인 ‘디자인 아이디어 발상’의 전개해 나간다.
위한 상세 기획안을 수립, 명시 본을 분류한다. 개발 방향을 도출해 낼 수 있도 준거로 활용한다.
한다. 록 기초 자료를 확보한다.
프로젝트 파악하기 프로젝트 제안하기 시장 환경 조사하기 시장 환경 분석하기 제품 디자인 전략 도출하기 제품 개발 콘셉트 도출하기 제품 사양 검토하기 아이디어 표현하기
주요 프로젝트 제안 준비하기 프로젝트 계약하기 경쟁 제품 조사하기 경쟁 제품 분석하기 제품 개발 키워드 도출하기 디자인 방향 키워드 도출하기 아이디어 구상하기 아이디어 스케치하기
업무 디자인 트렌드 조사하기 디자인 트렌드 분석하기 디자인 콘셉트 도출하기
사용자 분석하기



직무 프로젝트 유지·관리 프로젝트 유지·관리 디자인 구체화 렌더링
프로젝트 유지·관리 피드백 양산 관리 모형 제작 디자인 구체화 모델링 디자인 아이디어 발상 구체화
능력 데이터 작성 체계 구축 및 평가 관리
최종 디자인과 디자인 사양서, 최종 디자인과 디자인 사양서, 최종 디자인과 디자인 사양서, 최종 안으로 결정된 디자인 안 재료, 색상, 필요한 동작 등 최종 모델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 ‘디자인 아이디어 발상’ 단계에서 시각화된 아이디어 스케치에 소
한도 견본이 완료된 후 자료 한도 견본 등 결과 보고서 작성 한도 견본이 완료된 후 클라이 에 대하여 지식 재산권을 확보 디자인을 확정하며 기구 설계, 제 적용될 수 있는 CMF(Color, 선정된 아이디어 안들을 컴퓨터 재, 질감, 작동 원리, 양산 방법의
의 분류·정리를 체계화하고, 이 완료된 후 자료의 분류·정 언트의 최종 승인을 받아 관련 하고,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금형 설계 제작을 비롯한 마케팅 Material, Finishing)를 구체화하 를 포함한 유사 도구를 이용하여 대한 구체적인 방안 등을 표현하
직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활용할 리·편집 기술을 통하여 데이 부서에 통보하고 양산에 문제 디자인 사양서 발행, 인증 검사, 프로모션을 위해 3D 컴퓨터 모 여 실제 의사 결정을 한다. 가상 공간상에 사실적이고 정밀 여 아이디어를 전개해 나간다.
목적
수 있도록 정기적 피드백 관리 터베이스화하고 지속적인 사후 가 없도록 결과 보고서를 작성 한도 견본 승인과 같은 관리를 델링 작업 후 실제 제품과 같은 하게 구현하여 구체화한다.
를 통해 지속적으로 사후 관리 관리한다. 한 후 데이터베이스를 체계화 한다. 모형으로 제작한다.
한다. 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한다.
프로젝트 결과 보고서 관리 프로젝트 결과 보고서 실행 프로젝트 결과 보고서 작성하기 디자인 사양 정하기 도면 작업하기 렌더링하기 제품 사양 검토하기 아이디어 구상 및 구체화하기
주요 하기 하기 데이터베이스 체계화하기 관계 부서 협의하기 모형 제작 검토하기 디자인 선정하기 모델링하기 스케치 선정하기
업무 데이터베이스 관리하기 데이터베이스 구축하기 디자인 사양 승인하기 최종 디자인 점검하기
사후 관리하기 지식 재산권 확보하기



150 Ⅲ. 디자인 분야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