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9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159










2 환경 디자인의 분야

환경 디자인은 어떻게 분류될까?




환경 디자인은 크게 건축과 그 환경 전체에 대한 디자인의 경우 익스테리어 디자
인(exterior design: 도시 계획, 건축, 조경, 정원, 공원, 광장, 공공 디자인 등)과 건

축물의 내부인 인테리어 디자인(interior design: 실내 계획, 디스플레이 등)으로 분
류할 수 있다. 환경 디자인은 인간의 생활 환경을 디자인하는 것이기 때문에 분야가
매우 광범위하며 공간, 목적, 필요성에 따라서 분류된다.



1 실내 디자인


실내 디자인은 인테리어 디자인의 다른 말로, ‘내부의, 내관적인’ 생활 공간을 말하
며 인간의 기본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실내 디자인의 대상은 주택, 사무실, 상업 시설 내 상점, 병원, 호텔, 레스토랑, 카

페, 백화점, 학교, 도서관 등 인간이 거주하는 모든 건축물의 내부 공간이다.
실내 디자인은 각 개인의 생활 방식에 맞추어 창의성을 표현해야 하므로 인테리
어와 건축, 인테리어와 조경, 가구와 공간 사이의 상호 관계를 이해해야 한다.
















Dࢎ ࢎৠ ੋపܻয ٣੗ੋ - 용암 동굴을 닮은 내부 공 Nࢎ ֎੉ߡ بࢲҙ - 사람들이 지식과 정보, 노하우나
간, 한라산과 제주 바다가 보이는 주변 풍경, 높고 넓은 즐거움을 나누는 온라인 공간 ‘N사’와 다양한 이야기와
공간감은 창의력을 증진할 수 있는 요소이다. 경험이 담긴 ‘책’이 서로 닮았다는 점에 착안해 사옥 로비
전체를 도서관으로 만들었다.















ঐझపܰ׸ ৄ݃ যܽ੉ ߽ਗ - 모든 연령대의 어린이와 부모, 병원 의료진과 소통할 수 있는 그림으로 벽면을 꾸며 어
린이 환자가 불안과 두려움을 느낄 수 있는 요소를 철저히 배제하였다.

3. 환경 디자인 157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