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4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164










3 환경 디자이너의 직무

환경 디자이너가 갖추어야 할 역량은 무엇일까?




환경 디자이너는 도시 색채와 공공 거리, 사인, 가구, 공원과 놀이 공간, 슈퍼그래 슈퍼그래픽(super graphic)
1960년대 이후 나타난 환경 디자
픽, 모뉴먼트, 이벤트 등 환경과 관련된 모든 요소를 연출하고 디자인한다. 인의 유형으로 벽면 전체의 디자인

사람은 누구나 젊고 아름답게, 신선하고 건강하게 살고 싶은 생각을 갖고 있으므 으로 건물 외벽을 장식하여 도시의
경관을 아름답게 한다.
로, 디자이너는 인간의 세계를 생각하고 그것을 실체화시켜 환경 디자인으로 창조
모뉴먼트(monument)
해야 한다. 따라서 디자이너는 첫째, 정신적이며 지적인 리더십이 있어야 하고, 둘째, 기념적인 목적을 위해 제작된 공공
조형물 일반을 총칭하는 용어
균형과 조화의 감각을 지녀야 하며, 셋째, 그 나라의 역사 및 전통과 관련한 지식도
갖추어야 한다.
환경 디자이너는 다른 분야의 전문과들과 협력하여 기획하고, 개발하고, 디자인에

대한 책임을 짐으로써 디자인에 관련된 업무를 종합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문제를
발견하고, 그것을 해결하는 것도 디자이너의 역할이지만 특히 환경 디자인은 개인
보다는 팀으로 일을 해결해 나가야 한다.

환경 디자이너는 삶의 공간, 공공 영역, 도시 발전 등 사회의 구성원들에게 이익을




환경 디자이너의 직무 과정과 수행 업무

직무
환경 디자인 프로젝트 이해 환경 디자인 프로젝트 검토 환경 디자인 프로젝트 계약 환경 디자인 프로젝트 수행 계획 환경 디자인 프로젝트 기초 조사·분석 환경 디자인 기획 설계 목표 수립
능력
프로젝트의 성격과 목적을 파악하기 위한 프로젝트의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다각도의 프로젝트의 타당성 검토 후 계약 체결 여부 수행 계획은 프로젝트의 진행을 위한 조건과 과업의 내용과 대상지 공간의 조건, 이용자, 법 사용자와 환경의 이해·분석을 통하여 문제
직무 분석 능력을 배양한다. 기준에 부합되는지 검토 능력을 배양한다. 를 결정할 수 있는 판단 능력을 배양한다. 절차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합리적인 수행 계 적 사항 등 기초 조사를 통하여 프로젝트에 대 를 발견하고 트렌드를 접목하여 해결 방안·관
목적 획을 편성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한 종합 분석력을 배양한다. 리·운영을 종합적으로 계획하는 능력을 배양
한다.
프로젝트 성격 파악하기 프로젝트 요구 사항 검토하기 계약의 내용, 기간, 금액 검토하기 수행 내용 분류하기 요구 사항 분석하기 조사·분석 자료를 기초로 해결 과제 설정하기
주요 프로젝트 범위, 기간 파악하기 프로젝트 제약 사항 검토하기 계약의 조건 검토하기 기술적 내용 분류하기 사용자 분석하기 주제 설정하기
업무 프로젝트 목표 및 기대 효과 파악하기 프로젝트 수행 방법 검토하기 분쟁 조정하기 수행 조직 구성하기 환경 분석하기 목표 설정하기
법령·법규 분석하기


직무 환경 디자인 감리 결과 보고 환경 디자인 감리 환경 디자인 실시 설계 시방서 작성 환경 디자인 실시 설계 도면 환경 디자인 기획 설계 주제
능력 작성 환경 디자인 기본 설계 발표 환경 디자인 기본 설계 설정
준공 및 감리 보고에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 설계 도서, 관련 서류, 관계 법령에 의거하 실시 설계를 토대로 공사 과정별·시공 방법 기본 설계 발표 후 결정된 계획 기본 설계된 내용을 구체화하여 선정된 아이디어(기본 구상)를 사용자를 위한 주제는 상위 계획
는 능력을 배양한다. 여 시공되는지 관리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에 대한 문서를 작성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을 종합하여 도면 및 시공 방법 클라이언트 및 관련자에게 시각 토대로 대상 공간에 공간 구성 을 이해하고 법률적 범주 안에서
직무
에 대하여 작성하는 능력을 배양 화하여 효과적으로 프레젠테이 요소(기능, 동선, 구조, 재료, 색 창의적으로 콘셉트를 도출하는
목적
한다. 션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채 등)를 종합적으로 계획하고 능력을 배양한다.
도면화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준공 검사하기 설계 도서 검토하기 시공 제반 사항 지침 작성하기 실시 설계 도면 작성하기 프레젠테이션 기획하기 공간 계획하기 공간 프로그래밍하기
협의 및 승인 서류 작성하기 시방서 검토하기 시방서 작성하기 실시 설계 도면 검토하기 프레젠테이션하기 디자인 시각화하기 공간 프로그램 적합성 검토하기
주요
감리 보고서 작성하기 일정 및 법규 내용 검토하기 기본 설계 도서 및 설계 예가 작
업무
제작 감리하기 성하기
시공 감리하기


162 Ⅲ. 디자인 분야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