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6 고등학교 디지털 논리 회로 교과서
P. 276
용어 사전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 31 주기억 장치 30 카노도에 의한 논리식 간소화 112
플라스틱 테이프 겉에 산화철 등의 자성 재료 내부 기억 장치라고도 부르며, 외부의 입력 장 진리표를 표 모양으로 나타낸 것
를 바른 테이프로 대부분 컴퓨터 기억, 오디오, 치를 통해 들어온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
비디오를 기록하는 데에 쓰임. 카운터(counter) 222
직렬 가산기 151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클록 펄스의 수
자기 코어 메모리(magnetic-core memory) 1개의 전가산기로 구성되어 있어 첫 번째 비트 를 세는 데 사용하는 논리 회로
31 부터 최상위 비트까지 한 번에 한 자리씩 피연
초기 형태의 임의 접근 컴퓨터 메모리. 자기장 산자에 대응하는 연산자를 더하는 가산기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32
으로 정보를 저장하며, 전원을 꺼도 내용이 사 주기억 장치와 중앙 처리 장치 사이에 있는 고
라지지 않음. 이러한 메모리를 코어 메모리라 직렬 입력-병렬 출력 레지스터 221 속 메모리
고도 부름. 데이터를 직렬로 입력하여 병렬로 출력하는 방
식으로, 주로 직렬 데이터 통신에 사용 커패시터(capacitor) 42
전감산기 145 전기 용량을 얻기 위한 장치로 충전과 방전을
1비트로 구성된 2진수 입력과 상위 자리에서 직렬 입력-직렬 출력 레지스터 220 통하여 전하를 저장하고 방출하여 전압 논리에
빌려온 자리 빌림수를 입력으로 포함하여 뺄셈 데이터를 직렬로 입력하여 직렬로 출력하는 레 따라 논리 1과 0을 저장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논리 회로 지스터로, 주로 통신 장치인 모뎀(modem)에
사용 코드 변환기 174
전비교기 170 2진수로 구성된 코드를 다른 종류의 코드로 바
하위 자릿수의 비교 결과도 포함하여 2개의 입 진리표(眞理表, truth table) 49, 104 꾸어 주는 논리 회로
력을 비교하는 논리 회로 진리식 및 논리 회로에 대한 모든 입출력 결과
를 기록하는 표 콘센서스 111
정논리(positive logic) 99 AB+AC+BC의 형태의 함수가 주어진 경우 BC
high 레벨(5V)일 때 논리는 1, low 레벨(0V)일 진리표에서 임의 상태 × 118 항은 중복이 되어 삭제할 수 있는데, 이때 제거
때 논리는 0인 개념 어떤 입력에 대하여 출력이 무엇이든지 상관이 된 BC 항을 콘센서스 항이라 함.
없음을 의미하는 상태이며 무관항이라 함.
정적 램(SRAM) 34, 41 클록 펄스 203
집적도가 낮은 대신 재충전 과정이 따로 필요 집적 회로 22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high’ 신호와 ‘low’ 신
없이 저장된 내용을 계속 유지할 수 있으므로 많은 전자 회로 소자가 하나의 기판 위 또는 기 호가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전기
액세스 속도가 빠르며 캐시 메모리에 주로 사용 판 자체에 분리할 수 없는 상태로 결합하여 있
는 초소형 구조의 기능적인 복합적 전자 소자 클록형 RS 래치 211
제수와 피제수 81 입력을 제어하는 클록 신호가 있을 때에만 동
나눗셈 연산 A÷B에서 A를 피제수(나누어지는 작하는 RS 래치 회로
수), B를 제수(나누는 수) ㅊ
최대항 105
조합 논리 회로 134 ㅌ
n개의 변수는 각 변수의 논리합 항으로 형성하
입력과 출력을 가진 논리 게이트로 두 개 이상
n
면 2 개의 가능한 조합으로 만들 수 있음. 타이밍 차트(timing chart) 208
의 논리 게이트들을 서로 연결한 회로, 오직 입
시간의 흐름에서 입력 파형과 출력 파형이 클
력에 의해서만 출력이 결정되는 논리 회로
최소항 104 록 신호의 제어로 변화하는 형태를 그래프로
n
논리 변수가 n개일 때 얻을 수 있는 2 개의 논 나타낸 것
존(zone) 영역 92
리곱 항
ASCII 코드, BCD 코드, EBCDIC 코드 등에서
숫자, 영문자, 기호 등의 문자를 구분하는 영역
ㅍ
ㅋ
주기(period) 203 폭(width) 203
클록 신호가 반복될 때 하나의 클록 신호가 진 카노도 110 클록 신호 1이 존재하는 시간
행되는 데 걸리는 시간 카노도는 모리스 카노가 소개하였으며, 복잡한
논리식을 편리하게 간소화할 수 있음.
274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