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1 고등학교 디지털 논리 회로 교과서
P. 51
AND 게이트를 진리표와 논리식, 논리 기호로 표시하면 표 Ⅱ-1과 같다. 진리표(眞理表, truth table)
진리식 및 논리 회로에 대한 모든
입출력 결과를 기록하는 표이다.
표 Ⅱ- 1 AND 게이트의 논리 기호, 논리식, 진리표
참, 거짓을 나타내는 변숫값인 0, 1
논리 기호 논리식 진리표 TTL 7408의 실제 모습 의 모든 가능한 조합과 이들 각각에
대한 관련 함수의 값을 0, 1(또는
입력 출력 참, 거짓)로 나타내는 스위칭 함수,
또는 진리 함수의 표이다.
A B Y
A Y = A·B 0 0 0 많이 사용하는 AND 게이트 IC
B Y = A×B
= AB 0 1 0 • TTL: 2입력 7408, 3입력 7411,
1 0 0 4 입력 7421 등
• CMOS: 2입력 4081, 3입력 4073
1 1 1
등
2 OR 게이트
OR 게이트는 2개 이상의 입력 논리 변수들을 논리적으로 합하는 OR 연산을 수행하 OR 트랜지스터 회로
OR 게이트
여 한 개의 출력을 얻는 게이트로, 연산 기호로는 + 를 사용한다.
+VCC
A
1
OR 연산을 실현하는 전기 스위치 회로와 동작 파형은 그림 Ⅱ-18과 같다. 1 0
0
0
입력 A
OR 게이트
OR 게이트
B Y A +VCC B
입력 B 0 1 0 1 0 +VCC
E A A 입력 A 0 0 0 0 1 1 1 0 0 1 Y
•SW on - 논리 1 입력 A R
출력 Y
•SW off - 논리 0 B B Y Y 입력 B 0 0 1 1 0 1 0 0 1 1 1 0 0 1 0 A A B B
Y Y
•전구 점등 - 논리 1 E E (a) 스위치 회로 입력 B (b) 동작 파형 OR 게이트 (트랜지스터 회로)
R R
•전구 소등 - 논리 0 출력 Y 0 0 1 1 1 1 1 0 1 0 두 트랜지스터 A, B의 입력이 각각
출력 Y
출력 Y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A, B
중 한 트랜지스터라도 1이 입력되
(b) 동작
(b) 동작 파형파형
(a) 스위치
(a) 스위치 회로
(a) 스위치 회로회로 (b) 동작 파형 OR 게이트 (트랜지스터 회로)
OR 게이트 (트랜지스터 회로)
면 전류가 통해 Y에 1이 출력된다.
그림 Ⅱ-18 OR 스위치 회로와 동작 파형 그리고 A, B 모두의 입력이 0일 때
는 두 트랜지스터가 모두 꺼져서 Y
에 0을 출력한다.
•두 입력 변수가 동시에 모두 0(off)이면, 그 출력 결과는 0(소등)이다.
•두 입력 변수 중 하나라도 1(on)이 있으면, 그 출력 결과는 1(점등)이다.
많이 사용하는 OR 게이트 IC
OR 게이트를 진리표와 논리식, 논리 기호로 표시하면 표 Ⅱ-2와 같다. • TTL: 2입력 7432
• CMOS: 2입력 4071, 3입력 4075
표 Ⅱ-2 OR 게이트의 논리 기호, 논리식, 진리표
논리 기호 논리식 진리표 TTL 7432의 실제 모습
입력 출력
A B Y
A 0 0 0
Y Y = A + B
B 0 1 1
1 0 1
1 1 1
3. 논리 게이트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