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8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P. 78









2 생활 및 신변 안전사고는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


여기서 배울 내용 아동 학대·성폭력, 노인 학대 등과 같은 신변 안전사고의 경우 기본적인 생명 존중 의
• 안전 사고 예방 대책
식이 부족하여서 나타나는 사회 문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우리는 안전 의식과 더불어 생
•안전사고 발생 시 대처 방법
명 존중 의식을 고취해야 하며, 기본적인 생활 안전 상식을 배우고 익혀야 한다. 또 가정
Link & Think 폭력이나 안전사고를 남의 가정 문제라고 여기지 말고 대응해야 하며, 지역 사회와 국가
국민안전처
http://www.mpss.go.kr/ 가 함께 예방 대책과 피해 지원 제도 확충에 힘써야 한다.


가정 폭력을 신고하지 않은 이유 • 생애 주기별 발달 특징 이해
개인
• 안전 교육 적극 참여, 안전·생명 존중 의식 고취
기타 • 가족 간 원활한 의사소통 노력
신고해도 소용이 18.5 폭력이 심각하지 • 안전한 주거 환경 조성:
없을 것 같아서 않다고 생각해서
9.3 29.1 손 끼임 방지 보호대, 창문 난간 보호대,
안전 콘센트, 욕실 벽 손잡이 설치
자녀 생각해서 • 가정 내 안전한 생활 규칙 만들어 함께 지키기:
10.9 가정 안전 수첩 작성하기
배우자를 집안일이 • 우리 집 안전 점검 체크 리스트 해 보기
신고할 수 알려지는 것이
없어서 창피해서 • 우리 집 화재 안전 대피도 작성해 보기
14.1 28.1 가족

※ 출처: , 2010.12.28.





가정 폭력 예방법
• 효과적인 대화를 위한 의사소통 교육
참여하기 • 안전사고 예방 교육 활동 확대 실시
• 분노 조절이나 관계의 어려운 점이 사회 • 안전사고 후 대처 방법 홍보
있을 때 가족 상담 신청하기 • 신변 안전사고 피해자의 지원 제도 마련
• 부부 교육, 부모 교육 참여하기
그림 Ⅳ–2 생활 및 신변 안전사고 예방법
• 서로에게 칭찬 자주 하기
• 폭력 발생 신호가 느껴지면, ‘잠깐’을
외치고 자리를 피하기 가정 내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고는 예기치 못하게 발생할
• 부부에게 맞는 규칙 세우기(상대방에
수 있다. 이때 적극적으로 외부에 도움을 요청하여 신속히 해결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게 욕하지 않는다, 한 가지만 가지고
싸운다, 싸울 때 존댓말로 한다. 등) 특히 가정 폭력의 경우 가해자에게도 교정 지원이 있어야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
※ 출처: 한국가정법률상담소, 『꽃으로도 풀
잎으로도 때리지 마라』
24시간 전화 상담
상담 지원 피해자 치료 및 지속 상담
가정 폭력 신고는 112 여성긴급전화 1366 가해자 교정·치료 상담
이주여성긴급지원센터
•응급 조치 1인당 최대 500만 원 이내
•가해자 초동 조치 1577-1366 의료 지원
지자체 및 지역 상담소 통해 지원 가능
소송 대리 지원
가정 폭력 피해자 지원 가정 폭력 소송 비용 지원
피해자 법률 지원
• 아동보호전문기관(112) - 대한법률구조공단:132
지원 기관
• 청소년상담지원센터(1388) - 한국가정법률상담소:1644-7077
• 경찰청긴급지원센터(117) 가정 폭력 자녀와의 동반 입소
• 노인보호전문기관(1577-1389, 110) 가정 폭력 상담소 피해자 주거 지원 자립 지원
보호 시설 장·단기 보호 시설(6개월~2년)
• 해바라기 센터
그림 Ⅳ-3 가정 폭력 피해자 보호와 지원 제도

76 IV. 안전한 생활, 건강한 가족 BIG 가족의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