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1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101









읽기
자료 4차 산업 혁명 대비 자동차 업계에 부는 공정 혁신




컨베이어 시스템(포드), JIT(Just-In-Time ; 토요타) 등 대량 생산 체제를 만든 자동
차 업계에 4차 산업 혁명의 한 축인 공정 혁신 바람이 불고 있다.
완성차와 대형 부품 업계에 공정 혁신이 시작되면서, 후방 산업에도 영향이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
2017년 2월 9일 업계에 따르면, 완성차와 자동차 부품 업체들이 스마트 공장 시스템
을 도입하는 등 공정 혁신을 진행 중이다.























H사는 지난해 태국 자동차 공장에 새로운 조립 방식의 라인을 도입해 효율성을 10%
향상했다. 대부분의 자동차 제조 라인은 한 대의 차에 한 명이 한 종류의 부품을 장착
하는데 새 라인에는 4명이 한 조를 이뤄 한 대의 차에 여러 부품을 장착한다. 라인을
보다 효율적으로 바꿀 수 있다.

T사는 TPS(Toyota Production System)로 대표되는 생산 방식을 TNGA(도요타 뉴
글로벌 아키텍처) 기반으로 바꾸고 있다. 기본 골격은 공용화하여 최적화하고, 고객 기
호에 맞추는 부분은 다변화하여 개성 있는 차를 만드는 접근이다. 부품 업체와 협력해
부품 단위별로 생산 방식을 혁신하는 방식도 진행 중이다. 이와 같이 라인 콤팩트화,

작업 부품의 근접 배치로 공간과 투자 비용을 절감했다. AT 시프트 레버 와 같은 부
품은 이 같은 공정 혁신에 따라 4명이 10.6m 길이의 공간을 차지하며 진행하던 작업을
한 명이 2.7m 공간 안에서 하는 작업으로 줄일 수 있었다.
센서와 로봇으로 4차 산업 혁명의 대표 사례로 꼽히는 B사는 자동차 부품 라인도
고객 요구에 따라 소량 다품종을 생산할 수 있도록 바꿨다. 고객 요구가 변할 경우 작
업자가 담당하는 라인이 자동으로 바뀌어 다른 스펙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출처: 전자신문, 2017. 02. 09.>
✽ 시프트 레버: 기어를 바꾸는 레버를 말하며, 운전석 엔진 쪽에 있는 트랜스미션 기어를 자
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연장한 조작 레버이다.





3. 생산 공정 개발 99






공업일반_2단원 김영수 0426.indd 99 2017-08-30 오후 1:37:52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