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7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107
2 생산 관리의 필요성
기업은 고객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양질의 제품을 적절한 시기에 생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에 따라 생산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전통적으로 생산 관리
는 제품의 생산 원가를 낮추고 투입 비용을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지만, 오늘날
에는 제품의 판매 영역까지 생산 관리에 포함시키는 추세이다.
(1) 생산 관리의 영역
생산 관리 활동은 제품 선정, 생산 계획, 시스템 설계, 설비 배치, 일정 계획, 직무
설계, 품질 관리, 성과 측정, 재고 관리 등과 같은 다양한 영역을 포함한다.
(2) 생산 관리의 목표
생산 관리의 목표는 원가, 품질, 납기, 생산성, 유연성 등의 측면에서 설정되는데,
기본 목표는 원자재나 인력과 같은 투입 요소는 적게 쓰고, 제품이나 이윤과 같은 산
출 요소는 크게 얻는 것이다.
1 원가
기업은 생산 또는 생산 활동에 투입되는 비용의 절감을 목표로 한다. 생산 규모가
대량일수록, 설비 사용 기간이 길고 유지 비용이 적을수록 원가는 낮아진다. 또한 원
자재와 완제품의 재고가 최소량일수록, 재작업과 폐기물에 소요되는 비용이 적을수
록 원가는 낮아진다.
2 품질
기업은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제품 또는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킨다. 제품의
불량률, 폐기물과 재작업의 비율이 낮을수록 품질은 높아진다. 고품질 제품은 높은
가격 경쟁력을 갖추게 되므로 제품의 품질 향상으로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생
산 관리의 목표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
3 납기
고객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4 생산성
기업은 투입에 대한 산출의 비율을 높임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5 유연성
기업은 수요의 변동에 따라 생산 수량을 빠르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소비
자의 요구나 취향에 맞추어 제품의 디자인을 변경하거나 신제품을 출시할 수 있어야
한다.
4. 생산과 생산 관리 및 생산 혁신 활동 105
공업일반_2단원 김영수 0426.indd 105 2017-08-30 오후 1:3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