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9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129
2 생산 정보 시스템의 발전 과정과 생산성 향상
컴퓨터가 생산 현장에 도입되면서 제품의 설계에서부터 원자재 관리, 생산, 재고
관리 등에 생산 정보 기술이 융합된 다양한 정보 시스템이 활용되고 있다.
(1) 생산 정보 시스템의 발전 과정
생산 정보 시스템은 1970년대 MRP-I(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I), 1980
년대 MRP-II(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II), 1990년대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로 발전했다. 2000년대에 이르러서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인 ERP와 결합하여 기업의 자원을 통합 관리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였다. e-비지니스
가 가속화되고 E-ERP(Extended ERP)가 등장한다.
1990년대
ERP
1980년대
1970년대 MRP-Ⅱ
MRP-Ⅰ
[그림 Ⅱ-42] ERP의 발전 과정
1 자재 소요 계획
자재 소요 계획(MRP-I: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I)은 1960년대에 미국의 재고 현황 철(IRF: Inventory
Record File)
IBM에서 자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개발한 정보 시스템이다. 자재 소요 계획
품목 기본 파일이라고도 함. 총 소요
은 재고 현황철, 자재 명세서, 일정 계획을 기본으로 부품이나 재료의 소요량을 구하 량, 예정된 입고량, 기대되는 보유량
등을 포함하며, 현재의 재고 상황을
고, 자재 조달 계획을 수립하여 일정을 관리하는 정보 시스템이다. 품목별로 정확히 기록하는 자료
자재 소요 계획의 기본 원리는 최종 제품의 생산 시기와 생산 수량이 결정되면 제
자재 명세서(BOM: Bill of
품 구조 분석에 의해 제품을 구성하는 자재와 부품이 자동으로 계산되는 것이다. 이 Materials)
제품 한 단위 생산에 필요한 구성
결과에 따라 필요한 자재와 부품의 양을 필요한 시기에 맞도록 주문하고 공급받으
품목의 종류와 수량을 명시한 것
면, 재품 생산에 필요한 재고 및 일정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자재 소요 계획은 수립된 제품 생산 계획에 따라 조립품, 부품, 원자재
등의 물자를 필요할 때에 필요한 만큼 구매하는 공급 계획을 수행하며, 궁극적 목적
은 제조, 자재 조달 계획의 최적화를 통한 생산 공장의 원가 절감이다.
5. 생산 정보 시스템 활용 127
공업일반_2단원 김영수 0426.indd 127 2017-08-30 오후 1:3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