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5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125
중단원 정리하기
생산 관리의 의미
① 생산의 개념: 생산에 관련된 일련의 활동을 계획하고 조직하며 통제하는 과정
② 생산 관리는 무엇을 할 것인지 결정되는 시점부터 시작되며 절차는 생산 방식에 의하여 결정됨.
생산 시스템
① 개념: 제조 공정을 통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일련의 구조와 과정
② 생산 시스템의 유형: 제품별·공정별·위치 고정형·그룹 배치에 의한 생산 시스템 등
생산 계획
① 개념: 생산 계획은 물자와 인력의 효율적인 배분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판매 예측을 토대로 제품의 종류, 수량, 생산
일정 등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
② 분류: 장기 계획, 중기 계획(총괄 생산 계획, 주 생산 계획), 단기 계획, 일정 계획 등
생산 혁신 활동
① 개념: 생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생산 활동의 전 부문을 새롭게 변화시키는 활동
② 생산 혁신 활동의 종류: 3정 5S, 품질 분임조, 6 시그마 등
외국 선진 기업의 생산 방식
① 개념: 선진 기업의 생산 방식에는 TPS: 토요타 자동타가 개발한 생산 시스템
② LEAN 생산 시스템: 미국 MIT 연구진이 일본의 TPS를 연구하여 내놓은 생산 시스템으로, 생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낭비 요소를 철저하게 제거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함.
탐구
직업 물류 전산 조작원
주요 업무 ① 공정별 배치 현황, 기계와 설비의 배치 현황, 단위 공정당 작
업량 및 작업 시간 등을 컴퓨터에 입력한다.
② 생산 라인 상에서 부착된 바코드가 판독기를 통과하며 들어오
는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한다.
③ 제품의 공정별 생산량, 장비의 이상 유무, 작업원의 작업 상
태, 생산품의 이상 유무 등을 모니터로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
를 취할 수 있도록 해당 부서에 연락한다.
트레일러에 화물을 싣는 모습
필요 역량 ① 전문계 고등학교 이상의 학력을 갖추고 실무 경력을 쌓는다.
② 기본적인 컴퓨터 사용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③ 공정과 설비에 대한 기본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관련 자격 물류 관리사
진출하는 곳 바코드 조작원, 정보 시스템 운영자
4. 생산과 생산 관리 및 생산 혁신 활동 123
공업일반_2단원 김영수 0426.indd 123 2017-08-30 오후 1:3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