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1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121









시그마(σ)는 통계학에서 주로 사용되며 표준 편차를 의미하는 기호인데, 평균에

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평균을 중심으로 종 모양으로 배치
된 정규 분포 표에서 1시그마는 전체의 30.32%를 포함하고, 6시그마에는 전체의
99.99966%가 분포되어 있다.

이것을 경영에 적용하여 6 시그마는 99.99966%의 합격품을 의미하며, 이는 생산
된 제품 100만 개 중에서 불량품은 3~4개 정도만 나오게 한다는 거의 완벽한 품질

관리 수준을 뜻하는 개념이 되었다.

[표 Ⅱ -7] 기존 품질 경영과 6 시그마 경영의 비교

구분 기존의 품질 경영 6시그마 경영
기본 관점 기업 측의 관점 고객 만족도
추진 방법 상향식 하향식
개혁 대상 불량 발생 장소 모든 프로세스
개혁 목표 부분 최적화 전사 최적화
추진자 제조 현장 담당자 중심 사내 전문가 중심

측정 지표 불량률 (%) 시그마(σ)



6 시그마 창시자인 마이클 해리(Mikel Harry)는 6 시그마를 ‘품질 혁신의 이정표’
라고 지칭하며 6가지 금언을 강조하고 있다.


6 시그마 6 가지 금언

① 살아있는 질문을 던져라.
② 새롭게 생각하라.
③ 공정 능력을 인식하라.
④ 시그마는 측정 수단이다.
⑤ 품질은 설계 때부터 만들어진다.
⑥ 전문가가 필요하다.




6 시그마 프로젝트의 일반적인 절차는 정의, 측정, 분석, 개선, 관리의 단계로 구조
화되어 있다. 6 시그마는 이미 존재하는 제품이나 프로세스의 결함을 개선하는 데

주로 활용된다.




정의 측정 분석 개선 관리
(define) (measure) (analyze) (improve) (control)

[그림 Ⅱ-36] 6 시그마 프로젝트 수행 절차


4. 생산과 생산 관리 및 생산 혁신 활동 119






공업일반_2단원 김영수 0426.indd 119 2017-08-30 오후 1:38:02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