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6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116
(4) 일정 계획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생산 현장에서 작업을 분배하고, 작업의 순서를 정하고,
각 작업별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정하여 진도를 관리하는 생산 계획을 말한다.
총괄 생산 계획
•장기 계획
•시장 전망 주 생산 계획
•수요 예측
일정 계획
생산 재고(재고 관리)
[그림 Ⅱ-30] 생산 계획의 수립 단계
2 생산의 계획 기능과 통제 기능
생산 계획은 계획과 통제의 기능을 갖는다. 생산 계획의 계획 기능 중 공수 기능은 공수(工數)
일정한 작업에 필요한 인원 수를 노
경제적이고 능률적인 작업 절차를 결정하기 위하여 작업 순서 계획과 공정별, 기계 동 시간이나 노동 일로 나타낸 수치
로, 표준 임금을 산정하는 토대가 되
별, 월별로 생산량을 공수로 환산하여 작업 부하가 균등하게 되도록 계획하는 것이
며, 원가 관리의 참고 자료가 된다.
고, 일정 계획은 작업량과 생산 능력을 고려하여 작업 기간을 배분하는 것이다.
생산 계획의 통제 기능은 미리 작성한 계획이나 일정 계획 등에 따라 생산 시스템
을 원활히 운영하는 데 필요한 통제를 의미하며, 계획과 실제와의 차이를 감지하고
편차를 조정하여 감소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3 생산 계획의 수립 과정
생산 계획은 4단계의 절차를 거쳐 수립한다. 생산 능력이 부족하면 순서대로 이행
해야 하지만 생산 능력에 이상이 없으면 1단계에서 4단계로의 진행도 가능하다. TIP
생산 계획의 목표
•생산 비용의 최소화
수요 예측
1단계 •고객 서비스의 최적화
전체적인 수요를 예측하고, 주문 및 재고 수준을 고려하여 소요량을 결정한다.
•설비 이용의 최적화
•재고의 최소화
생산 능력 점검 •잔업, 하청의 최소화
2단계
생산 능력을 점검하고, 최적의 이용 방안을 결정한다. •이익의 극대화
전략 대안 결정
3단계
생산 계획의 대안들 중 비용을 산정·비교한 후 최종 대안을 결정한다.
최적의 생산 계획 수립
4단계
적절한 생산 계획 기법으로 최적의 생산 계획을 수립한다.
[그림 Ⅱ-31] 생산 계획 수립 과정
114 Ⅱ. 제품의 생산
공업일반_2단원 김영수 0426.indd 114 2017-08-30 오후 1:3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