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8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118









1 1단계: 현상 파악 및 문제점 분석

1단계에서는 현재 하고 있는 작업 방법과 인력, 공정 흐름 등의 현상을 파악하여
손실 발생 요인, 불량 요인, 능률 저하 요인 등 세부적인 손실 이유를 검토함으로써

생산 시스템의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2 2단계: 활동 방향 및 목표 설정
2단계에서는 분석된 문제점 자료를 토대로 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활동을
개선하는 것으로, 가동률을 높이는 방법과 생산 속도를 개선하는 방법 등을 계획한다.

3 3단계: 즉시 실천 활동

3단계에서는 개선 방향과 목표에 따라 즉시 실천한다. 개선 활동을 미루지 말고 이윤
기업의 총수입에서 임대, 지대, 이
즉시 개선해야 비용을 줄이면서 이윤을 되찾을 수 있다. 실천할 때에는 실현성이 높
자, 감가상각비 등을 빼고 남는 순
고 개선 효과가 높은 순으로 활동을 전개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익

4 4단계: 효과 분석
4단계에서는 문제점 개선의 결과를 설정한 목표와 비교하여 실현 정도를 파악하
고, 설정한 목표대로 실적이 나타나지 않았다면 그 원인을 파악하여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고 다시 행동으로 옮긴다.

4단계
효과 분석

• 개선 결과와 목표를 비교
분석
•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을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을
때 목표 재설정 및 실천
때 목표 재설정 및 실천
3단계
즉시 실천 활동

• 비용을 줄이고 이윤은
크게
• 실현성이 높은 순으로
실천
2단계
활동 방향 및 목표 설정

•설비 가동률 향상
•생산 속도 향상
1단계
현상 파악 및 문제점 분석
•손실 발생 요인 파악
•불량 발생 요인 파악
•능률 저하 요인 파악

[그림 Ⅱ-32] 생산성 향상 절차

116 Ⅱ. 제품의 생산






공업일반_2단원 김영수 0426.indd 116 2017-08-30 오후 1:38:01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