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7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117








4 생산 혁신 활동



길잡이
질문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내려면 생산 현장에서 어떤 일들을 실천해야 할까?




기업은 이윤 추구의 극대화를 위한 생산성 향상 노력과 함께 좋은 제품을 생산해
야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생산 혁신 활동을 해야 한다.



1 생산성 향상

생산성은 생산의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어떤 재화 산출량 효율
생산성 들인 노력과 얻은 결과의 비율로,
를 생산하는 데 투입된 생산 요소의 양과 산출량의 비로 투입량 기계의 경우 일한 양과 공급된 에너
나타낸다. 지의 비율로 나타낸다.

(1) 생산성의 의미

생산성은 작업자의 노동 생산성, 자본 생산성, 원재료 생산성, 기계 생산성, 기업의

생산성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할 수 있는데, 그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노동
생산성이다.
하루에 작업자 1명이 생산하는 기준 수량이 100개일 때 실제 1명의 작업자가 90

개의 제품을 생산했다면, 그 작업자의 생산성은 90%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
업에서는 작업자 1명이 시간당 생산할 수 있는 표준 수량을 결정하고 실제 생산량이

여기에 미달할 경우 생산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여 실시한다.

(2) 생산성 향상 방법

기업의 목적인 이윤 추구는 생산성 향상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생산성을 향상
시키는 방법으로는 일정한 노동 시간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방법과 노동 시간 자체

를 줄이는 방법이 있다.
수확 체감의 법칙에 따르면, 토지나 자본, 노동과 같이 제한된 생산 요소는 어느

시점이 지나면 새롭게 투입되는 요소로 인해 발생하는 수확의 증가량이 감소하게 된
다고 한다.
생산성을 향상시키려면 투입량은 최소화하고 산출량을 최대화해야 한다. 투입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제품 생산 과정의 낭비 요소를 제거하고, 좀 더 쉽고 편하며 빠
르게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야 한다.
생산성 향상의 절차는 1단계 현상 파악 및 문제점 분석, 2단계 활동 방향 및 목표

설정, 3단계 즉시 실천 활동, 4단계 효과 분석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생산과 생산 관리 및 생산 혁신 활동 115






공업일반_2단원 김영수 0426.indd 115 2017-08-30 오후 1:37:59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