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4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34









(2) 중화학 공업의 발전 동향

우리나라의 중화학 공업은 1973년 중화학 공업화 선
언 이후 국가의 집중적인 육성 정책으로 발전하기 시작

하였다. 국내 산업 구조는 경공업에서 중화학 공업으로
고도화되어 해외 투자가 증가하면서 해외 생산 매출액

이 급증하였다. 이에 따라 1980년대에는 철강, 자동차,
조선, 석유 화학, 전자 장치 부문이 크게 성장하였다.
이후 우리나라의 중화학 공업은 고도의 기술 개발과

더불어 IT 산업과의 융합으로 고부가 가치 제품을 개
[그림 Ⅰ-16] 1970년대 구미 산업 단지의 TV 생산 현장
발하고, 에너지 산업 등에 중점을 둠으로써 경제 발전
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표 Ⅰ -8] 우리나라 중화학 공업의 제품과 발전 동향

연대별 제품 발전 동향
•자본 집약적 장치 공업에 역점
• 1972년 제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부터 본격적
1970년대 전기 공업, 기계, 철강, 자동차, 조선, 석유 화학 등
육성
•1973년 6월 중화학 공업 육성 정책 수립

1980년대 초반 자동차, 조선, 벙커 C유, 경유 등 석유 제품 등 기술 집약적 공업을 중심으로 육성
1980년대 중반 기계, 전자, 철강, 자동차, 조선, 석유 제품 등 IT 산업이 빠른 속도로 발전
2000년대 초반 조선, 자동차, 철강 등 수출이 급속도로 성장
2012년~ 자동차, 조선, 철강 등 그린 카 생산과 IT 융합 산업으로 발전















매장의 전자 제품들












자동차 제조 공장 철도 차량
[그림 Ⅰ-17] 중화학 공업 제품들

32 I. 산업 사회와 공업의 개요






공업일반_1단원 김영수 0426.indd 32 2017-08-30 오전 11:30:03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