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6 고등학교 공업 일반 교과서
P. 36









(2) 비철 금속 공업

비철 금속 공업은 금, 은, 구리, 납, 아연, 알루미늄 등의 광석을 제련하는 공업과 인터넷
이를 통하여 얻은 비철 금속을 가공하는 제품 공업으로 구분한다. 비철 금속 공업은 •한국비철금속협회
http://www.nonferrous.or.k
중화학 공업을 비롯하여 첨단 산업의 모체가 되는 소재 산업으로, 소재의 안정적인 공
급이 요구되며, 관련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우리나라의 비철 금속 공업은 한국 전쟁 이후 원시적인 주조 방식에 의해 알루미
늄 식기를 생산한 것을 시작으로, 1960년대 말 알루미늄 제련 공장 설립과 1970년대
말 구리 제련소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또한 일반 가정용품에서부터 항공 우주 및 방위

산업에 이르는 기초 소재 산업으로 성장해 왔다. 향후 비철 금속 공업의 육성을 위해
서는 생산 설비의 효율적 확충, 원광석의 안정적인 확보, 기술 개발의 촉진, 합금 기술
의 향상 등과 같은 최신 기술의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


잉곳(ingot)
제련된 금속을 다시 용해할 목적으
로 적당한 크기와 형태로 주조한 금
속의 덩어리


알루미늄 잉곳 구리관 온산 아연 제련 공장
[그림 Ⅰ-20] 알루미늄 잉곳, 구리관, 온산 아연 제련 공장



[표 Ⅰ -9] 우리나라 철강 공업의 발달 과정
강재
년대 내용
조선이나 건설 등 다른 공업의 재료
• 1963년 전후(戰後) 부흥 정책의 일환으로 기존 공장의 복구·가동 및 부산제철소(現 로 쓰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1960년대
동국 제강)의 최초 전기로 설비 도입 가공한 강철로. 크게 조강, 강판, 강
관으로 나눈다.
• 1970년 철강 공업 육성법 제정
1970년대 •1973년 포항 제철 제1기 고로 준공으로 일관 생산 체제 갖춤.
•강재의 대량 생산을 통한 수익성 극대화 추구
• 1992년 포항 제철(現 포스코)의 제1기~제4기에 걸친 광양 제철소 종합 준공 등 양적
성장
• 1990~1995년 철강 21세기 운동 등을 통한 신기술·신강종 개발 확대 등 양적 성장
1990년대 강재 생산 모습
에서 질적 성장으로의 변화
• 1997~1998년 한보 철강, 기아 특수강, 삼미 특수강 등 11개 철강 업체가 부도에 이 파이넥스(finex) 공법
르고 조강 생산 설비 500만 톤을 폐쇄 원료의 예비 처리 과정 없이 값싼
• 2004년에 한보 철강이 INI 스틸(現 현대 제철)에 인수되면서 그동안의 기업 간 구조 조 가루 형태의 철광석과 유연탄을 원
료로 쇳물을 생산하는 공법으로, 원
정이 일단락
가를 15% 절감하는 반면 공해 물질
2000년대 • 2004년 철강 수입 무관세화가 시행되고 중국의 철강 산업이 급부상하며 철강 업계의
은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 공법
구조 개편
•2005년 이후 포스코가 세계 최초로 파이넥스 공법을 개발하고 설비를 준공(2007년) TIP
조괴법
• 2010년 현대 제철에서 당진에 2기의 고로를 준공. 제2의 일관 제철 업체로 등극
노에서 생산된 용강을 일정한 형태
2010년대 •2014년 7,154만 3천 톤 생산. 세계 5위의 철강 생산국
의 주형에 부어서 강괴를 만든 후 압
•급변하는 국내외 환경에 대응하며 제2의 도약기 전망 연을 거쳐 슬래브를 제조하는 방법
34 I. 산업 사회와 공업의 개요






공업일반_1단원 김영수 0426.indd 34 2017-08-30 오전 11:30:06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