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7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67
2 웹 페이지
인터넷 사용 시 화면상에 보이는 웹 페이지는 웹 브라우저, HTML과 XML, 콘텐츠
등으로 구성되며, 웹 서버를 통해 실행된다.
(1) 웹 브라우저
웹 브라우저(Web Browser)란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할 때 웹 서버와 문서를 가져 웹 브라우저와 HTML
와 보기 편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응용 프로그램을 말한다. 대표적인 종류에는 인터
넷 익스플로러, 크롬, 사파리, 오페라 등이 있다.
이러한 웹 브라우저는 단순히 정보를 검색하는 기능을 넘어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소스 보기
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과 동시에 자신만의 웹 서비스 기능을 지닌다. 대부분의 인터
넷 사용자들은 컴퓨터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페이지를 읽게 된다. 같은 웹 페이지
들의 모임을 웹 사이트라고 한다.
(2) HTML과 XML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은 웹 문서를 만드는 데 이용되는 문서 형식으로,
웹상에서 브라우저를 통해 정보를 보여 주기 위한 언어이며, 문서가 어떠한 모습으
로 나타나게 되는지를 지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반해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은 웹에서의 데이터 교환 표준을 마련
하기 위해 설계된 표준화된 텍스트 형식으로, HTML과 같이 어떤 문서를 기술하는
문서 유형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문서 유형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3) 콘텐츠
콘텐츠는 인터넷이나 컴퓨터 통신 등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
보나 그 내용물 또는 유・무선 전기 통신망에서 사용하기 위한
문자, 부호, 음성, 이미지, 영상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하여 처
리・유통하는 각종 정보나 그 내용물을 통틀어 말한다.
인터넷을 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구성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네트워크 구성에는 다음과 같은 장치들이 있어야 원활한 정보 교환이 가능하다.
• 서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이다.
• 클라이언트: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단말기이다.
• 허브 / 스위치: 외부의 정보 신호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한다.
• 라우터: 서로 다른 네트워크들을 연결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
1. 인터넷의 개념 65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65 2017-09-06 오후 4:2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