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1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71
1 TCP/IP의 개념
TCP/IP 프로토콜의 특징을 살펴보자.
TCP/IP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여러 가지 다른 기종의 컴퓨터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표준 프로토콜의 집합체이다.
1 TCP/IP 프로토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는 TCP 프로토콜과 IP 프로 프로토콜(Protocol)
컴퓨터 간에 정보를 주고받을 때 사
토콜의 집합이다.
용하는 통신 방법에 대한 규칙이나
TCP 프로토콜은 송신 시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의 패킷으로 분할하고 수신 시 분할 약속
된 패킷을 재조립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수신한 패킷에 에러가 있을 경우 송신 측에 패킷(packet)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기 쉽도
재전송을 요청하여 신뢰성 있는 통신을 담당한다. 록 자른 데이터의 전송 단위로, 데
이터 중계자 역할을 함.
IP 프로토콜은 TCP 프로토콜에 의해 분할된 패킷을 원거리에 있는 목적지 컴퓨터
로 정확하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IP는 패킷을 목적지 컴퓨터까지 운반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TCP는 데이터의 흐름을 관리하고 데이터가 정확한지를 검사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CP/IP 프로토콜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TCP/IP 프로토콜 특징
오픈 프로토콜 계층적 구조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
특정 회사나 기관의 소유물이 TCP는 OSI 7계층 중 전송 계층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표준
아닌 오픈 프로토콜 표준이므로 (제 4계층)에 해당하며 IP는 네 통신 프로토콜로서 전 세계 어
누구나 이 프로토콜을 무료로 트워크 계층(제 3계층)에 해당 느 지역의 어느 기종과도 상호
적용하고 보완할 수 있다. 한다.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그림 Ⅱ-3 TCP/IP 프로토콜의 특징
2 TCP/IP의 계층 구조
TCP/IP는 OSI 7계층 모델과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프로토콜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고, 서로 대응하는 계층 간에 유사한 기능을 갖는 공통점이 있다.
TCP/IP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의 프로토콜 구조는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인터넷
계층, 전송 계층 및 응용 계층의 4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인터넷의 체계 69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69 2017-09-06 오후 4:2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