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0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70







2. 인터넷의 체계






학습목표
인터넷 통신에서 필수적인 TCP/IP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인터넷 통신의 IP 주소 체계, 도메인 네임, 시스템의 구성과 동작 원리 등을 이해한다.
인터넷 통신의 라우팅 방법, 프로토콜 개념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인터넷 서비스를 이해하고 응용 서비스 사례를 제시할 수 있다.




생각 서로 다른 컴퓨터들끼리 통신할 수 있는 것은 어떤 기술 때문일까?
의 창


인터넷에서 통신하는 과정은 편지를 주고받는 과정과 비슷하다. 편지를 작성한 후 송신자와 수신
자 주소를 쓰는 것처럼, 인터넷에서도 전송할 데이터를 적당한 크기의 전송 단위로 나누어 송신
자와 수신자의 주소 정보를 더하여 전송한다. 네트워크에 있는 서로 다른 컴퓨터나 정보 통신 기
기들이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통신 규약, 즉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한다. 다른 사람
과 스마트폰을 이용해 메시지를 주고받는 과정을 통해 TCP/IP 계층의 각 단계별 역할에 대해 알
아보면 다음과 같다.





송신자 프로토콜 수신자

스마트폰에서 송·수신 프로 스마트폰에서 메시지 송·수
그램을 이용해 보낼 메시지 신 프로그램을 이용해 수신
를 작성한다. 된 메시지를 읽는다.

작성된 메시지를 일정 크기 스마트폰이 받은 메시지를
로 나누고 각각에 수신 번호 다시 합치고 메시지 함으로
를 정확하게 입력한다. 정확하게 전달한다.

수신자까지의 전달 경로를 수신 기지국에서 수신 번호
선택한다. 를 보고 메시지를 분류한다.


마이크로파를 통해 무선으로 마이크로파를 통해 무선으로
메시지를 전달한다. 메시지를 전달받는다.


네트워크








알고 있는 용어에 표시해 보자.
핵심용어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인터넷 계층 전송 계층

응용 계층 프로토콜




68 Ⅱ. 인터넷 통신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68 2017-09-06 오후 4:23:46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