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9 고등학교 실용 수학 교과서
P. 99










상대도수 도수분포표나 히스토그램에서는 각 계급의 도수를 알아보기 쉽지만 각 계급
의 도수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알아보기는 쉽지 않다.


도수의 총합에 대한 각 계급의 도수의 비율을 그 계급의 상대도수라 하고 다
야구에서 타자의 타율과 투수
의 방어율은 상대도수로 나타 음과 같이 구한다.
낸 값이고, 타자의 홈런이나 투
수의 승수는 도수로 나타낸 값
이다. (각 계급의 도수)
(각 계급의 상대도수)=
(도수의 총합)


다음의 경우는 각 계급의 도수보다는 상대도수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1) 도수의 총합이 큰 자료에서는 각 계급의 도수를 비교하는 것보다 상대도수로 비
교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2) 도수의 총합이 서로 다른 두 자료의 분포를 비교할 때에는 상대도수를 구하여
자료의 분포를 비교하면 편리하다.




3 다음은 어느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직원 30명의 나이를 조사한 자료이다. 10대에서 50대
탐구
하기 까지 직원의 상대도수를 구하여라.
(단위: 세)
31 29 26 21 44 35 43 33 32 44
37 19 24 19 47 30 50 36 19 41
45 47 32 27 41 39 28 48 55 58



풀이 예를 들어 30대 직원들의 상대도수는 ;3ª0;=0.3이다.


위의 자료를 도수분포표로 나타내고 각 계급의 상대도수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
상대도수의 합은 도수의 크기 과 같다.
에 상관없이 언제나 1이다.
나이 직원 수(명) 상대도수
10대 3 0.1

20대 6 0.2
30대 9 0.3
40대 9 0.3

50대 3 0.1

합계 30 1.0


위와 같이 상대도수를 나타낸 표를 상대도수의 분포표라고 한다.


1. 자료의 정리 97






082127_3단원-자료 디자인.indd 97 2017-09-08 오후 6:17:17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