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7 고등학교 실용 수학 교과서
P. 97
도수분포다각형 히스토그램에서 각 계급의 직사각형 윗변의 가운데 점을 차례대로 선분으로
연결한 그래프를 도수분포다각형이라고 한다.
히스토그램은 두 자료를 한 그래프로 나타내어 두 자료의 분포를 비교하기
어렵지만 도수분포다각형은 두 개 이상의 자료를 한꺼번에 나타내어 그 자료
들의 분포를 쉽게 비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다음은 대한고등학교 1학년 남녀 학생들의 수행 평가
탐구
하기 활동 점수에 대한 도수분포표이다. 남학생, 여학생의
점수에 대한 도수분포다각형을 하나의 그림에 겹치게
그려 보고 남녀 학생들의 점수를 비교해 보아라.
〈남학생〉 〈여학생〉
점수(점) 도수 (명) 점수(점) 도수 (명)
20 이상 ~ 30 미만 4 20 이상 ~ 30 미만 2
30 이상 ~ 40 미만 6 30 이상 ~ 40 미만 3
40 이상 ~ 50 미만 4 40 이상 ~ 50 미만 5
50 이상 ~ 60 미만 7 50 이상 ~ 60 미만 3
60 이상 ~ 70 미만 4 60 이상 ~ 70 미만 10
70 이상 ~ 80 미만 8 70 이상 ~ 80 미만 8
80 이상 ~ 90 미만 3 80 이상 ~ 90 미만 7
90 이상 ~ 100 미만 14 90 이상 ~ 100 미만 12
합계 50 합계 50
풀이 16 남학생 여학생
명
14
( )
도수분포다각형을 그릴 때, 양 12
끝점은 도수가 0인 계급이 있 10
는 것으로 생각하여 그 가운데 8
점을 이어서 그린다.
6
4
2
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점수)
남학생의 점수에서는 도수가 가장 작은 계급은 ‘80점 이상 ~ 90점 미만’이며,
도수가 가장 큰 계급은 ‘90점 이상 ~ 100점 미만’이다.
여학생의 점수에서는 도수가 가장 작은 계급은 ‘20점 이상 ~ 30점 미만’이며
도수가 가장 큰 계급은 ‘90점 이상 ~ 100점 미만’이다.
이 그래프에서 60점 미만의 계급에서는 남학생이, 60점 이상의 계급에서는 여
학생이 더 많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여학생들의 점수가 남학생들의 점수보다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 자료의 정리 95
082127_3단원-자료 디자인.indd 95 2017-09-08 오후 6:1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