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1 고 윤리와 사상
P. 221

















서양 윤리 사상 사회사상

1 사상의 연원: 보편성의 원리는 어디서 기원하였는가? 1 사회사상: 이상 사회는 가능한가?
1 ㉠ 고대 그리스, ㉡ 헤브라이즘, ㉢ 상대주의, ㉣ 보편주의 2 1) X, 1 ㉠ 사회사상, ㉡ 현실 사회, ㉢ 이상 사회, 2 1) O, 2) O, 3) X, 4) X
2) X, 3) O, 4) O 3 1) ㉡, 2) ㉠ 4 해답 생략 5 해답 생략 3 1) ㉡, 2) ㉠, 3) ㉣, 4) ㉢ 4 공자: 대동 사회(도덕 사회, 복지 사회
지향), 노자: 소국과민(자연 질서에 따르는 소박한 삶 추구), 플라톤:
2 덕: 덕 있는 삶이란 무엇인가? 철인 정치(철인이 통치하는 이상 국가), 모어: 유토피아(평등하고 풍요
1 ㉠ 플라톤, ㉡ 아리스토텔레스, ㉢ 선의 이데아, ㉣ 의지 2 1) O, 2) 로운 국가), 마르크스: 공산 사회(생산 수단 공동 소유, 계급 없는 평등
X, 3) X, 4) O 3 1) ㉡, 2) ㉠ 4 1) 공통점: 소크라테스의 보편주의 윤 사회) 5 해답 생략
리 계승함, 차이점: 플라톤은 이데아 세계와 영혼의 정의를 강조하는
이상주의적 윤리 사상(주지주의)이며, 아리스토텔레스는 탁월한 이성 2 국가: 목적인가? 수단인가?
과 품성의 덕을 강조하는 현실주의적 윤리 사상(주의주의) 1 ㉠ 도덕 공동체, ㉡ 개인, ㉢ 결사체 2 1) O, 2) O, 3) X, 4) X 3 1)
㉡, 2) ㉢, 3) ㉠ 4 1) 민본주의 2) 백성의 신뢰와 민의
3 행복 추구의 방법: 쾌락의 추구를 통해 행복을 달성할 수 있는가?
1 ㉠ 에피쿠로스학파, ㉡ 평정심, ㉢ 스토아학파, ㉣ 부동심 2 1) O, 3 시민: 개체적 존재인가? 사회적 존재인가?
2) O, 3) X, 4) X 3 1) ㉡, 2) ㉠ 4 해답 생략 5 1) 평온하고 소박한 1 ㉠ 자유, ㉡ 권리, ㉢ 연대, ㉣ 공동선 2 1) O, 2) O, 3) X, 4) X 3 1)
삶을 추구하는 정신적이고 지속적인 쾌락 2) 에피쿠로스학파는 공리 ㉡, 2) ㉠, 3) ㉢ 4 해답 생략 5 1) 인간은 개인적 존재이며 도시에
주의와 같은 경험주의 윤리설에, 스토아학파는 자연법 사상과 그리스 공동체적 존재이므로 개인선과 공동선의 조화는 가능함. 2) 자유주의
도교 윤리에 영향을 줌. 의 관점과 공화주의의 관점을 종합하여 개인으로서의 시민성과 공동
체 구성원으로서의 시민성의 조화를 추구하려는 성숙한 시민 의식이
4 신앙: 진정한 신앙이란 무엇인가? 필요함.
1 ㉠ 고대 그리스 사상, ㉡ 그리스도교, ㉢ 플라톤, ㉣ 아리스토텔레스
2 1) O, 2) O, 3) X, 4) X 3 1) ㉡, 2) ㉠ 4 해답 생략 5 1) 타락한 가 4 민주주의: 민주주의의 이상은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가?
톨릭 교회에 저항한다는 의미로 사용되지만 본래의 의미는 신 앞에 바 1 ㉠ 인간의 존엄, ㉡ 자유, ㉢ 평등, ㉣ 참여 2 1) O, 2) O, 3) O, 4) X
로 선다는 의미를 가짐, 2) 인간 존엄성과 이웃에 대한 사랑 강조, 자연 3 1) ㉢, 2) ㉠, 3) ㉡ 4 해답 생략 5 1) 넓은 영토와 많은 국민으로
법 사상과 세계 인권 선언, 칸트의 윤리 사상에 영향 구성된 현대 국가에서 국민이 직접 주권을 행사하는 데 제약이 있음.
2) 주인 의식을 가지고 공적인 일에 참여, 다양한 가치를 존중하는 관
5. 도덕의 기초: 도덕적 판단과 행동의 근거는 무엇인가? 용의 자세, 의사소통의 합리성, 법과 절차 존중, 설득과 합의 중시, 공
1 ㉠ 이성, ㉡ 감정, 2 1) O, 2) O, 3) X, 4) X 3 1) ㉡, 2) ㉠ 4 해답 동선의 추구와 유대 의식 등
생략 5 1) 이성: 스피노자의 윤리 사상, 감정: 흄의 윤리 사상 2) 스
피노자의 사상: 이성을 중시한 합리론, 칸트의 사상에 영향, 흄의 사 5 자본주의: 자본주의의 원리와 현실의 문제는 무엇인가?
상: 감정을 중시하는 경험론, 공리주의와 실용주의 윤리 사상에 영향 1 ㉠ 자유 시장 경제, ㉡ 물질 만능주의, ㉢ 사회 양극화, ㉣ 인간 소외
2 1) O, 2) O, 3) X, 4) O 3 1) ㉠, 2) ㉢, 3) ㉡, 4 해답 생략 5 1) 노
6 옳고 그름의 기준: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동자의 낮은 임금과 열악한 노동 환경에 따른 빈곤 문제, 빈번한 실업
1 ㉠ 선의지, ㉡ 의무론, ㉢ 결과, ㉣ 결과론 2 1) O, 2) O, 3) X, 4) X 과 경제 불황 문제 등 2) 정당과 의회를 통한 점진적 사회 개혁, 인간
3 1) ㉢, 2) ㉡, 3) ㉠ 4 1) ㉠: 자율, ㉡: 인간 존엄성 2) 해답 생략 의 존엄과 품격을 보장하는 자본주의 설계 등

7 현대의 윤리적 삶: 주체적 실존인가? 실용적 문제 해결인가? 6 평화: 세계 시민과 세계 평화는 실현 가능한가?
1 ㉠ 실존주의, ㉡ 실용주의, ㉢ 주체적 결단, ㉣ 효율성 2 1) O, 2) O, 1 ㉠ 세계 평화, ㉡ 지구적, ㉢ 세계 시민 2 1) O, 2) X, 3) O, 4) O 3
3) X, 4) X 3 1) ㉡, 2) ㉠ 4 해답 생략 5 1) 등장 배경: 현대 사회의 1) ㉡, 2) ㉠, 3) ㉢ 4 해답 생략
급격한 도시화와 빈부 격차 심화에 따른 사회 불안, 기계화와 물질 만
능주의에 따른 인간 소외와 비인간화 현상 등. 현대적 의의: 개인의
정체성 회복과 삶의 근본적 의의 성찰 2) 윤리 사상과 사회사상으로
발전, 교육 철학과 민주주의 확대 → 현실의 당면 문제 해결과 실천 방
안을 모색하게 함.








단원 마무리 해답 219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219 2018-08-06 오전 11:38: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