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7 고 윤리와 사상
P. 217
세계 시민으로서 우리가 가져야 할 태도에는 무엇이 있을까?
현대를 사는 우리는 이제 더 이상 세계화의 진행을 막을 수 없고, 세계 문제에 대 인류는 다른 사회와
해 외면할 수도 없으며, 세계 시민으로서 살아가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문화, 지역에서 살아가는
이방인과 대화가 필요하고,
우리 모두에게는 이들에
세계 시민은 어떤 사람인가? 인류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을 지니고 인류가 마주한 문제들 대한 의무가 있다.
05 에 대해 알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다. 좀 더 덧붙이자면 보다 정의롭고 평화
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 따뜻한 시선으로 주위를 살피고, 여러 가지 사회 문제를 비판적으로
사고할 줄 알며, 이를 실천으로 옮길 수 있는 용기와 역량이 있는 사람이다.
- 민동석, 『세계 시민에게 필요한 교육은 무엇인가』
세계 시민으로 살아가기 위해서 우리가 가져야 할 태도에는 무엇이 있을까? 먼저
10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역사, 종교 등 다방면에서 상호적으로 얽혀 있는 세계 문제 ▲ 큉(K ng, H., 1928~)
의 본질을 비판적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또한, 세계 시민은 인류 공
동체에 대한 소속감을 느끼고 다름과 다양성에 대해 존중하는 관용의 자세, 연대의
식, 공감과 타인에 대한 책임감을 지녀야 한다. 현대 사회는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
로 세계의 다양한 행위자 간의 교류와 협력이 확대되고 적극적인 사회적 이동이 가
15 능해졌다. 따라서 세계 시민으로서의 우리는 다양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세계 문
제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그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오늘날 지구촌에서 발생하는 세계 문제는 그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문제이다. 지금 당장 나의 문제가 아니라고 외면한다면 그 결과가 우리에게 더 큰
문제로 다가올 것이다. 우리는 한 국가의 국민이자 세계 시민이라는 점을 자각하고
20 관심과 이해의 눈으로 지구촌 문제를 보아야 한다. 또한, 소통과 공감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자세를 갖추어 전 세계인이 더불어 잘 살아갈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쟁
쟁점 토론점 토론 우리는 국제 사회의 ‘국민’인가, 지구촌의 ‘세계 시민’인가?
“원조는 고통받는 사회의 사람들이 국제 “기아의 문제는 가난한 나라에 대한 무관
사회의 완전한 구성원이 되도록 돕는 것 심에 있다. 선진국 사람들은 기아로 고통
이다. 따라서 원조의 의무는 모든 사회가 받는 사람들과 자신의 이익 관심을 동등
자유적이거나 적정 수준의 기본 제도를 하게 고려한 원조로서 인류 전체의 행복
가질 때까지 유효하다.” 을 증진해야 한다.”
롤스의 국제주의: 다양한 국민들의 자율성을 존 싱어의 세계 시민주의: 세계 시민으로서의 윤리
중하면서 불리한 여건에 있는 사회에 대한 적극 적 입장을 중시하고, 공리주의를 바탕으로 적극적
적 지원을 강조한다. 인 해외 원조와 지구적 차원의 분배를 주장한다.
토론 후 쟁점에 관한 찬반 주장과 논거들을 정리하고 쟁점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발표해 보자.
6. 세계 시민과 세계 평화는 가능한가? 215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215 2018-08-06 오전 11:3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