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3 고 윤리와 사상
P. 213
서양의 평화 사상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서양에서도 전쟁과 평화에 관한 다양한 논의가 적극적으로 전개되면서 여러 가지
입장이 나타났다. 먼저 전쟁은 도덕적 판단의 대상이 아니라는 현실론이다. 즉, 현실
세계에서 전쟁은 자연 법칙과 같이 필연적이므로 논의 자체가 무의미하다는 것이다.
05 이들에 따르면 전쟁은 허용될 수밖에 없다. 상호 불신의 세계에서 상대국은 항상 위
험한 존재이고, 적어도 잠재적인 위협 요소일 수밖에 없다. 힘의 균형이 깨질 때 전
쟁은 발생하고, 힘의 균형은 언제든지 깨질 수 있기 때문에 전쟁을 막고 평화를 실
현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다음은 악을 제어하고 평화를 지키기 위해서 무력이 필요하다고 보는 관점이다.
10 아우구스티누스는 정당한 명분과 대의에 따르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무력 사용도
가능하다고 보았다. 아퀴나스도 이러한 주장을 채택하고, 무력이 정의와 평화를 지
키기 위한 수단임을 인정하는 관점에서 평화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근대 이후 평화에 대한 개념은 칸트에 이르러 크게 확장되고 발전하였다. 그는 영
원한 평화를 실현 불가능한 유토피아적 이념이 아니라 인간의 도덕적 실천 과제로
15 제시하였다. 칸트는 세계 평화에 대한 노력을 인간의 의무 가운데 하나로 보았으며,
인간이 인간답게 살기 위한 필수 조건으로 이해하였다. 영원한 평화를 실현하기 위
해 칸트가 제시한 방안은 국가 간의 주권 보장, 타국의 내정 간섭 금지, 공화제 실현,
국제법이 적용되는 연맹 창설, 세계 시민법 적용 등이다. 칸트의 영구 평화론은 오늘
날 민주주의를 통해 전쟁을 막을 수 있다는 민주적 평화론으로 확장되고 있다.
▲ 영구 평화론을 주장한 칸트
20 현대 사회에 들어 인류는 참혹했던 제1, 2차 세계 대전을 겪었고, 오늘날 지구촌 칸트가 제시한 평화 방안은 제1,
2차 세계 대전 이후 성립한 국제
곳곳에서는 여전히 지역 분쟁과 종교적 갈등, 그리고 전쟁과 각종 테러가 지속되고 연맹이나 국제 연합의 이론이 이
있다. 또한, 인권 문제를 비롯하여 지구촌 사회를 위협하는 각종 환경 문제, 빈곤 문 미 18세기에 나타난 것이라 할
수 있다.
제, 핵 문제 등은 전 지구적 협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평화학자 갈퉁은 평화의 반대말은 전쟁이 아
25 닌 ‘평화의 부재’라고 보았다. 따라서 진정한 평
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평화의 대상을 단순히
정치·군사적 차원으로 한정할 것이 아니라, 경
제·사회·문화·생태적 차원으로 확대해야 한
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단순히 전쟁이 없는 소
30 극적 평화의 개념에서 벗어나 적극적 평화를
요청함으로써 인류의 평화의 중요성을 다시금
강조하였다.
이러한 평화 사상은 우리 인류에게 필요한
평화의 진정한 가치를 알게 해 주며, 평화를 보
35 장하기 위한 제도 마련과 그 구체적인 방안을
▲ 전쟁과 반성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의 만행에 대해 유대인 희생자 위령탑에 무릎을 꿇
모색할 수 있게 하였다. 고 사과하는 서독의 브란트 총리의 모습(1970)
6. 세계 시민과 세계 평화는 가능한가? 211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211 2018-08-06 오전 11:3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