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1 고 윤리와 사상
P. 211



1





6-1 동서양의 다양한 평화 사상 학습 요소
•평화의 개념
•동서양의 평화 사상
학 습 •동서양 평화 사상의 특징과 의의를 이해할 수 있다. •세계 평화의 실현
목 표 •세계 시민 윤리의 원칙과 지향점을 설명할 수 있다.



진정한 평화란 무엇인가?

평화로운 삶은 갈등과 분열, 전쟁이 지속되는 역사 속에서도 인류가 끊임없이 추
구해 온 궁극적 가치이자, 이상이다. 평화란 전쟁을 멈춘 휴전이나 정전 상태와는 구

분되는 개념이다. 단순히 폭력이 없는 세력 균형 상태를 진정한 평화라 할 수는 없
05 기 때문이다. 여기서 우리가 말하려고 하는 진정한 의미의 평화란 세계 시민 윤리에
바탕을 둔 평화이다. 즉, 인류가 지향하는 우애와 협력, 그리고 인권과 정의의 가치

를 전제로 한 평화이다.
평화로 가는
오늘날 인류는 세계 평화를 원하지만, 아직도 지구촌 곳곳에서는 전쟁과 폭력, 그 길은 없습니다.
리고 테러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세계 평화를 이루어 모든 인류가 함께 평화가 길입니다.

10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려는 국제 사회의 노력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
다. 인종, 민족, 종교 등을 둘러싼 지역 분쟁과 갈등, 기아와 빈곤의 문제, 환경과 생

태의 문제, 인권 문제 등 오늘날 지구촌 사회의 다양한 현실은 우리에게 세계 평화
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고 있다.
평화가 중요한 이유는 평화야말로 인류가 지속적으로 생존할 수 있는 바탕이며

15 국제 정의를 실현하는 가치이기 때문이다. “평화로 가는 길은 없다. 단지 평화가
길이다.”라는 간디의 말처럼, 인류의 일상을 위협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 간디(Gandhi, M. K., 1869~1948) 비폭

위한 평화적 노력을 통해 우리는 번영의 미래를 꿈꿀 수 있다. 력 무저항주의로 인도의 독립을 이끈 독
립 운동가이다.

성찰하기
자료 ‘소극적 평화’와 ‘적극적 평화’의 의미는 무엇인가?
읽기

현대의 평화학자 갈퉁은 “전쟁을 피하는 평화는 소극적 평화에 불과하다. 국가들이 평화
구조적 폭력을 극복한
상태, 그것이 바로 구축 방법을 합의하고 전쟁을 없애 가는 적극적인 평화를 달성하는 것이 진정한 평화다.”
적극적 평화입니다. 라고 주장하며, 평화의 개념을 소극적 평화와 적극적 평화로 구분하였다.
소극적 평화란 직접적이고 물리적인 폭력이 없는 상태이다. 소극적 평화는 전쟁이 일어나
지 않고 직접적인 폭력이 발생하지 않을 때 달성된다. 반면에 적극적 평화란 직접적이고 물
리적 폭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구조적, 문화적 폭력까지 극복한 상태를 의미한다. 갈퉁은 그
동안 전쟁 방지에만 머물렀던 기존의 평화 연구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부정의하고 불평등한
사회의 구체적 현실과 억압적인 문화 구조를 극복하려 하였다. 갈퉁은 적극적 평화를 보다
강조하며, 이것을 이루기 위해서는 인간 존엄성과 삶의 질을 중시하고, 자유와 평등과 같
은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갈퉁(Galtung, J., 1930~)은 노르웨이의 평화학자이다.


6. 세계 시민과 세계 평화는 가능한가? 209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209 2018-08-06 오전 11:38:07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