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2 고 윤리와 사상
P. 212
동양의 평화 사상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춘추 전국 시대 중국에서는 전쟁이 끊임없이 계속되는 가운데 사회 혼란을 종식
하고 평화를 이루기 위한 여러 방안이 제시되었다.
공자는 모든 전쟁은 인간이 인간다움을 상실하였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생각하였
다. 그는 평화를 구현하는 방법으로 모든 사람이 인간의 도리와 예의를 중시하고 05
서로를 도우며 사는 대동(大同) 사회를 이상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반해 노자는 인
(仁)과 의(義)를 중시하는 유가 사상을 비판하고, 소국과민의 이상 사회를 제시하
면서 겸허(謙虛)와 부쟁(不爭)의 덕을 강조하였다. 겸허는 인간이 지닌 본래의 자연
성에 따라 소박하게 사는 삶을 뜻하며, 부쟁은 다툼이 없는 평화를 의미한다. 그리
고 묵자는 당시 사회의 혼란을 극복하고 평화를 실현하는 방법으로 겸애설을 제 10
✽
시하였다. 겸애설은 서로 차별 없이 사랑하고 이익을 함께 나누자는 주장이다. 차별
✽겸애설
사회 혼란의 원인은 인간의 이 없는 사랑을 통해 전쟁으로 어려움에 처한 백성들의 삶을 돌봄으로써 평화를 실현
기심과 차별적인 사랑 때문이다.
하자는 것이다. 묵자는 강대국으로부터 약소국을 지키기 위한 방어 전쟁만이 정당
차별 없이 사랑하고 서로 이익
을 나누어야 사회 혼란을 극복 하다고 생각하며 모든 침략 전쟁을 반대하였다. 또한, 전쟁을 막기 위해 국가 간의
할 수 있다. - 묵자
외교를 두터이 하여 신뢰를 쌓을 것을 강조하였다. 15
한편, 불교에서는 부처님의 자비로 모든 중생이 더불어 평화와 행복을 누리는 불국
정토(佛國淨土)를 이상 사회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연기(緣起)의 법칙에 따라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명체가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살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널리 사람을 이롭게 한다.”라는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정
신을 바탕으로 평화를 추구하였다. 홍익인간은 평화 애호의 정신과 흐름을 같이하 20
는 것으로, 여기에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존재가 상생과 조화를 추구해야 한다는
이상이 담겨 있다. 이와 같이 평화로운 삶을 지향하고, 관계 맺음을 중시하는 동양
의 평화 사상은 개체화되고 원자화되어 갈등을 야기하는 현대인의 관계 단절에 대
해 성찰할 기준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탐구 이해하기, 성찰하기
활동
평화는 어떻게 이룰 수 있는가?
묵자가 말했다. “옛날에 사람이 처음으로 생겨나서 형벌과 정치가 아직 없었을 때는 사람들의 주장이 각자 달랐다.
한 사람이 있으면 한 사람의 주장이 있고, 두 사람에게는 두 가지 주장이 있고, 열 사람에게는 열 가지 주장이 있었다.
사람들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그만큼 주장도 늘어났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신의 주장을 옳다고 하고 다른 사람의 주
장을 그르다고 하여 서로 비난하였다. 부모와 자식, 형제들이 원망하고 미워하여 결국 흩어져 서로 화합하지 못하고,
천하의 백성이 서로를 해친다. 남는 힘이 있어도 서로 도와주지 않고 재물이 남아 썩어도 서로 나누지 않는다. 양심과
도덕을 숨기고 서로 가르치지 않는다. 천하의 혼란이 동물의 세계와 같았다.” - 『묵자』, 상동 편
활동 1 묵자가 생각하는 사회 혼란의 원인과 그 해결 방법을 설명해 보자.
활동 2 유교, 불교, 도가 등 동양의 여러 평화 사상의 특징을 조사하여 그 공통점을 찾아보자.
210 Ⅳ. 사회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210 2018-08-06 오전 11:3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