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5 고 윤리와 사상
P. 215










6-2 세계 시민주의와 세계 시민 윤리의 구상 • 세계 시민주의
학습 요소

• 세계 시민 윤리
학 습 •세계 시민주의의 등장 배경과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 세계 시민의 자세
목 표 •세계 시민으로서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와 바람직한 자세를 제시할 수 있다.





세계 시민주의의 등장 배경과 의미는 무엇인가?

오늘날 세계는 ‘지구촌 공동체’라는 말처럼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 세계화가 전 지구적 차원에서 진행되면서 한 나라의 국민도 이
제 세계 시민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세계 전체가 긴밀하게 상호

05 의존하고 단일한 체계로 통합되면서 등장한 세계화의 추세
는 오늘날 전 지구적 차원에서 국가뿐만 아니라 각 지역 사
회와 개인에게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 세계 시민주의의 사상적 기반은 고대 그리스의 스토아학파와
근대 사상가인 칸트에게서 찾을 수 있다. 스토아학파는 모든 사람이 평

10 등하고 이성의 법칙에 따라 동일한 권리와 의무를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칸트는
보편적인 도덕 법칙을 강조함으로써 세계의 모든 사람이 동등하게 존중받을 수 있
✽세계화
는 도덕적 기반을 형성하였다. 이후 세계 시민주의는 인간 존엄을 핵심 가치로 삼아 영국의 사회학자 기든스는 세계
화를 세계 사회의 상호 의존성
인권을 존중하며 정의롭고 평화로운 지구촌 공동체를 형성하는 기반이 되었다.
이 증대하는 현상으로 규정하였
다.
세계 시민으로서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와 바람직한 자세는 무엇인가?
✽세계 시민주의
15 현대의 우리는 한 국가의 시민인 동시에 세계 시민이다. 그리고 세계 시민주의는 국적이나 민족, 종교 등의 경계
를 초월해 인류의 관점에서 세
이제 세계 모든 국가가 존중해야 하는 보편 가치가 되었다. 오늘날 세계화가 빠르게 계를 바라보는 견해를 의미한다.
진행되면서 세계 곳곳에서 긍정적인 협력이 발생하기도 하였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갈등도 심화되었다.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경제 불평등, 경제 논리에 따라 진행
되는 환경 파괴, 문화의 상품화와 다양성 훼손, 테러와 전쟁의 확산 등의 문제가 등
20 장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구촌 곳곳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

들을 자신과 별개의 문제로 보지 않고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다루고 함께 해결해야
할 공통의 문제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특정 국가의 국민이기보다는 세계
시민주의의 관점에서 문제들을 바라보고, 인류의 보편적 가치와 민주적 절차에 따

라 해결하려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25 세계 시민으로서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먼저 모든 국가에서의 빈곤 문제

를 극복하는 것이 있다. 오늘날 국제적으로 심화되고 있는 빈곤 문제는 대체로 불충
분한 복지 제도, 부정부패한 정부와 불평등한 무역 구조 등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서 기인하는 경우가 많으며,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더욱 심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전

세계 모든 지역과 국가에 절대적 빈곤에 처해있는 이들의 생존을 위해 국제적인 관
30 점에서 해결할 방안과 협력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한다.
6. 세계 시민과 세계 평화는 가능한가? 213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213 2018-08-06 오전 11:38: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