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0 고 윤리와 사상
P. 220











단원 마무리 해답




인간과 윤리 사상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1 인간의 삶에서 윤리 사상과 사회사상은 왜 필요한가? 1 사상의 연원: 인간의 행복과 질서를 실현하는 원리와 방법은 무엇
1 ㉠ 사회적 존재, ㉡ 윤리적 존재, ㉢ 윤리 사상, ㉣ 사회사상 2 1) O, 인가?
2) X, 3) X, 4) O 3 1) ㉠, 2) ㉤, 3) ㉣, 4) ㉥, 5) ㉡, 6) ㉢ 4 해답 생략 1 ㉠ 유교, ㉡ 도가, ㉢ 불교, ㉣ 홍익인간 2 1) O, 2) O, 3) X, 4) X 3
1) ㉡, 2) ㉢, 3) ㉠ 4 1) 홍익인간, 2) 천인합일의 정신, 인본주의, 평
2 우리의 삶에서 윤리 사상과 사회사상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화주의
1 ㉠ 윤리 사상, ㉡ 사회사상, ㉢ 도덕성 2 1) O, 2) X, 3) X, 4) O 3
1) ㉡, 2) ㉠, 3) ㉤, 4) ㉢, 5) ㉣ 4 1) 윤리 사상: 개인의 윤리적 삶에 2 인의 윤리: 사랑(仁)에 기반을 둔 질서 있는 세상은 어떻게 해야 실
대한 탐구를 통해 우리의 삶에 도덕 기준을 제시함, 사회사상: 사회 현 현할 수 있을까?
상을 해석하고 사회의 도덕성 탐구를 통해 우리 사회가 나아갈 방향을 1 ㉠ 인(仁), ㉡ 대동, ㉢ 성선설, ㉣ 순자 2 1) O, 2) X, 3) O, 4) O 3
제시함. 2) 해답 생략 1) ㉢, 2) ㉠, 3) ㉡ 4 1) 고자는 성무선악설을 주장, 맹자는 성선설을
주장함. 2)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선한 마음

3 도덕적 심성: 한국 유교는 인간의 도덕적 심성을 어떻게 이해하였
는가?
1 ㉠ 이황, ㉡ 이이, ㉢ 정약용, ㉣ 성기호설 2 1) X, 2) O, 3) O, 4) O
3 1) ㉢, 2) ㉠, 3) ㉡ 4 1) 이황: 사단은 순수하게 선한 도덕 감정이고
칠정은 선악이 섞여 있는 일반 감정이므로 사단과 칠정은 엄격히 구분
해야 함. 이이: 사단은 칠정에서 선한 것만을 들어서 말한 것이므로 칠
정은 사단을 포함하고 있음. 2) 공통점: 성(誠)과 경(敬)을 중시함. 차
이점: 이황은 도덕 본성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경을, 이이는 경을 통해
성을 이룰 수 있다고 보고 성을 보다 강조함.

4 자비의 윤리: 괴로움에서 벗어나 자비를 실천할 수 있는 진정한 길
은 무엇인가?
1 ㉠ 연기(緣起), ㉡ 깨달음, ㉢ 자비 2 1) O, 2) O, 3) X, 4) O 3 1)
㉡, 2) ㉠ 4 1) 선종, 선정(禪定)을 통한 본성의 직관 2) 공통점: 교종
과 선종 모두 깨달음을 얻어 성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차이점: 깨달
음을 얻는 방법으로 교종은 경전의 이해를, 선종은 참선과 직관 수행
을 중시함.


5 분쟁과 화합: 가장 바람직한 분쟁 해결 방식은 무엇인가?
1 ㉠ 원효, ㉡ 화쟁 사상, ㉢ 의천, ㉣ 지눌 2 1) O, 2) X, 3) O, 4) O
3 1) ㉢, 2) ㉡, 3) ㉠ 4 1) 의천은 교종을 중심으로 선종을 통합하려
하였으며, 지눌은 선종에 철학적 바탕을 두고 선종과 교종의 일치를
주장함. 2) 원효의 화쟁 사상

6 무위자연의 윤리: 영원한 자유와 평등의 세계는 어떻게 해야 실현
할 수 있을까?
1 ㉠ 무위자연, ㉡ 노자, ㉢ 장자, ㉣ 도교 2 1) O, 2) X, 3) O, 4) X 3
1) ㉡, 2) ㉠ 4 해답 생략

7 현대 사회에서 한국과 동양 윤리 사상이 갖는 의의는 무엇인가?
1 ㉠ 성리학, ㉡ 경세치용, ㉢ 이용후생, ㉣ 실사구시 2 1) O, 2) O 3)
X, 4) X 3 1) ㉡, 2) ㉢, 3) ㉠ 4 1) (가) 위정척사, (나) 개화사상 2)
(가) 항일 의병 운동과 독립 운동으로 계승, 근대화 지연 초래, (나) 근
대 사회의 기틀 마련, 외세의 간섭과 영향



218 단원 마무리 해답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218 2018-08-06 오전 11:38:15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