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6 중학교 기술가정 ① 교과서
P. 106
2 가족의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청결한 의복 관리
↳ 세탁 방법
↳ 다림질
길잡이 의복을 잘 관리하면 어떤 결과가 나타날까?
↳ 의복의 보관
⇢ 얼룩 제거 방법 의복을 깨끗하게 손질하여 입으면 보는 사람에게 단정한 인상을 줄 뿐만 아니라
•묻은 즉시 제거한다.
• 수용성, 지용성, 불용성 등 오염 종 옷을 입을 수 있는 기간도 늘어난다. 옷의 수명이 길어지면 의복 관리에 들어가는
류에 따라 방법을 선택한다. 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의복 관리에 필요한 자원도 아낄 수 있다. 또한
•비비지 않고 두드려 제거한다.
• 사용된 세제나 약품이 남지 않도록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므로 가족이 건강한 의생활을 실천할 수 있으며, 환경
주의한다. 오염도 줄일 수 있다.
드라이클리닝 의복을 관리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세탁이다. 세탁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세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기름때를 녹여
탁 전 먼지를 털고 얼룩을 제거하는 것이 좋다.
내는 방법.
세탁 방법에는 물과 세제를 이용하는 물세탁과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드라이클
과학 리닝이 있다. 물세탁에는 기계 세탁과 손세탁이 있는데, 오염이 심하거나 물에 약한
계면 활성제 옷감은 손세탁을 한다. 물과 알칼리, 열에 강한 면이나 마는 물세탁을 하고, 모나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물질끼리 섞
견, 형태가 변형되기 쉬운 의복은 드라이클리닝을 한다.
일 때 경계면의 표면 장력을 낮추어
섞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물질이다.
주로 친수기와 친유기로 이루어져 비누 합성 세제
있어, 물과 기름을 섞어 주는 역할을
• 특징: 찬물이나 센물에 잘 녹지 않음. 약알칼리성임. • 특징: 찬물이나 센물에 잘 녹음. 거품이 잘 생기며 세
한다.
생분해성이 좋음. 탁력이 좋음. 계면 활성제가 주성분임.
•사용 가능 섬유: 면, 마, 레이온, 합성 섬유 등 • 사용 가능 섬유: 일반적인 섬유
그림 4-12 세제의 종류와 특징
섬유의 종류
옷의 형태
색상
섬유의 종류, 옷의 형태, 색상에 따라 세탁물을 부분적으로 오염이 심한 부분은 애벌빨래를
분류한다. 세탁물을 분류할 때 섬유 손상을 방 한다.
지하기 위해 세탁망을 사용한다.
울
세제
일반
세제
의복의 소재에 따라 다르게 건조한다. 의복의 특성에 맞는 세제를 선택하여 본빨래
를 한다.
그림 4-13 세탁의 순서와 방법
4. 청소년의 자기 관리 02. 청결한 의복 관리
104 105
중등기술가정1권-3차제출본.indb 104 2017-07-28 오전 11:5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