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3 중학교 기술가정 ① 교과서
P. 103
1 의복 재료의 종류와 특성
↳ 옷감의 제조
↳ 옷감의 특성
길잡이 내가 입고 있는 옷은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
↳ 천연 섬유와 인조 섬유
의복을 오랫동안 잘 입기 위해서는 의복을 만드는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고, 재료 Link&Think
에 적합한 관리 방법과 보관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
http://www.kofoti.or.kr
의복을 만드는 옷감은 섬유로부터 시작된다. 섬유는 실의 재료가 되는 것으로 실
을 거쳐 옷감으로 만들거나 섬유 자체를 처리하여 옷감으로 만든다. 축융성
털섬유가 열, 압력, 습기에 의하여 엉
섬유에서 실을 거쳐 만들어지는 옷감은 만드는 방법에 따라 직물, 편성물 등으로 키고 줄어드는 성질.
나누어진다. 섬유에서 실을 거치지 않고 직접 만들어지는 옷감으로는 펠트와 부직
포가 있다.
섬유에서 직접 만들어지는 옷감
펠트 부직포
모의 축융성을 이용하여 열과 습기, 압력을 가해 인조 섬유를 얇게 펴 놓고 열이나 접착제로 고
만든 옷감으로, 마찰에 약하고 신축성이 없다. 정시켜 만든 옷감으로, 보온성과 통기성이 좋
으나 마찰에 약하고 신축성이 없다.
그림 4-8 섬유에서 옷감이 되는 과정
실로 짠 옷감
직물은 실을 직각으로 교차시켜 짠 것이다. 옷감의 세로 방향의 날실과 가로 방향의 씨실을 직각으로 교차시키는 방법에 따라
평직, 능직, 수자직 등의 조직이 만들어진다. 편성물은 바늘이나 손을 이용해 실로 코를 만드는 것을 되풀이하여 만든다.
평직 능직 수자직 편성물
날실과 씨실이 1올씩 교차된 조직 날실과 씨실이 2올 이상 건너서 교 날실과 씨실이 4올 이상 교차된 조 부드러우며, 신축성과 보온성이
으로, 튼튼하고 실용적이다. 차된 조직으로, 사선 무늬가 나타 직으로, 광택과 촉감이 좋으나 마 크다.
식탁보, 셔츠류 등 난다. 데님, 진 등 찰에 약하다. 넥타이, 스카프 등 속옷, 스웨터 등
그림 4-9 실로 짠 옷감의 종류별 특성
4. 청소년의 자기 관리 02. 청결한 의복 관리
100 101
중등기술가정1권-3차제출본.indb 101 2017-07-28 오전 11:5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