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 고등학교 한문 지도서
P. 10











1. 십반일시, 환성일반: 열 그릇의 밥에서 한 숟가락씩 덜면 다시 한 그릇의 밥이 만들어진다. 溫故知新
2. 민어사이신어언: 일을 함에 있어서는 민첩히 하고 말을 함에 있어서는 신중히 한다.
3. 견이독서, 여봉고인: 이미 읽은 책을 보는 것은 옛 친구를 만난 것과 같다.
하늘을 그린,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는

밑줄 친 부분에 유의하여 문장을 바르게 풀이하시오. 왜 만들었을까?
1. 十飯一匙, 還成一飯. 1. 還: ① 돌아오다 ② 다시
2. 敏於事而愼於言. 2. 而: ~하고
3. 如: ① 같다 ② 만약 국보 제228호로 지정된 ‘천상열차분야지도’는 동양의 옛 별자리를
3. 見已讀書, 如逢故人.
돌에 새겨 만든 대표적인 석각 천문도이다.
‘천상(天象)’은 하늘의 모습을 뜻하고, ‘열차(列次)’는 하늘을 12구
빈칸에 알맞은 어휘를 보기 에서 골라 쓰시오. 역으로 나눈 것, ‘분야(分野)’는 별자리와 연관해서 땅의 구역을 나눈
•洪水: 큰물.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천상열차분야지도’는 ‘하늘의 별자리를 열차
보기 洪水 國寶 對照 同價紅裳 安貧樂道 • 國寶: 나라에서 지정하여 법률로 보호하 와 분야에 맞추어 차례로 배열한 그림’이라는 뜻인데, 천문도에 대한

는 문화재.
이러한 명칭은 우리나라에만 있는 독특한 양식이다.
1. 숭례문은 우리나라 ( 國寶 ) 제1호이다. • 對照: 둘 이상인 대상의 내용을 맞대어
‘천상분야열차지도’는 조선 태조 4년(1395)에 만들었는데, 당시 우
2. ( 洪水 )이/가 나서 수재민이 많이 발생하였다. 같고 다름을 검토함.
리나라 하늘에서 볼 수 있는 1,467개의 별이 새겨져 있다. 천문도의
3. 그들은 경치 좋은 곳에서 2박 3일 동안 ( 安貧樂道 )의 • 同價紅裳: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라는
뜻으로, 같은 값이면 좋은 물건을 가짐 별 그림은 고구려의 천문도에서 유래한 것이다.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정의(定義): 어떤 말이나 사물의 뜻을 시간을 보냈다.
명백히 밝혀 규정함. 을 이르는 말. 설명문에 “이 천문도는 원래 평양성에 있던 것으로 전란 때 강에 빠뜨
예시(例示): 예를 들어 보임. 4. 설명의 방법으로는 정의, 예시, 비교와 ( 對照 ), • 安貧樂道: 가난한 생활을 하면서도 편안
비교(比較): 둘 이상의 사물을 견주어 분류와 구분 등이 있다. 려 잃어버렸으나 석각의 인본(印本)이 남아 있어 조선에 이르러 다시
서로 간의 유사점, 차이점, 일반 법칙 등 한 마음으로 도를 즐겨 지킴을 이르는 말. 만들게 되었다.”라는 기록이 있다. 다만 고구려의 것이 연대가 오래되
을 고찰하는 일.
어 별자리 그림에 오차가 생겼으므로 새로운 관측에 따라 오차를 교정
빈 곳에 알맞은 한자나 말을 쓰시오. 하여 새 천문도를 완성한 것이다.
조선 왕조를 연 지 4년 만에 ‘천상열차분야지도’를 제작한 것은 좋은
1. 積功成塔, 終亦不崩.: 공을 쌓아 만든 탑은 ( ) 또한 무너지지 않는다.
끝내
쌓다 무너지다 정치를 펴 나갈 것임을 만천하에 알리는 상징적 의미로, ‘천상열차분
2. 物我相忘, ( 安 )有爭閧?: 너와 나를 잊으면 어찌 다툼이 있겠는가? 야지도’는 조선 왕조의 정치적 주체성과 과학 수준을 실증적으로 보여
외물과 자아
주는 귀중한 과학 유물이다. ▲ 중앙의 가운데 큰 원 안에 별을 다양한 크기의 점으로 새겨
3. 吾讀未見書, ( 如 )得良友, 見已讀書, ( 如 )逢故人.: 넣었는데, 별빛의 세기에 따라 점의 크기를 달리한 것으로 매우
( 주술목 ) 구조
정교하다.
내가 아직 보지 않은 책을 읽는 것은 좋은 벗을 얻은 것과 같고, 이미 읽은 책을 보는 것은 옛 친구를 만난
것과 같다.




성 취 도

■ 한자 어휘를 활용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 1 2 3 4 5

■ 한자 어휘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정보처리 능력을 기 1 2 3 4 5 다음 단원에서는
를 수 있었다.
■ 한자 및 구절의 쓰임을 알고 풀이에 활용한다.
■ 한문 단문을 배우고 선인들의 삶과 자세를 이해하여 1 2 3 4 5
■ 문장의 유형[의문문]을 알고 바르게 풀이한다.
인성 역량을 기를 수 있었다.
■ 한자문화권에 대한 지식을 통하여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의 태도를 형성한다.

64 정리와 점검 문화 P 65






고등한문_교사용지도서_2단원.indd 64 2017-08-31 오전 11:34:05
   5   6   7   8   9   1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