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 고등학교 한문 지도서
P. 6














본문 풀이 다양한 청언 작품

未: (아직) ~ 아니다. ▒ 吾讀未見書, 如得良友,
如 ❶ 같다 오독미견서 여 득 양 우 《명청 시대의 청언 작품》
② 만약 내가 아직 보지 않은 책을 읽는 것은 좋은 벗을 얻은 것과 같고,
• 서책으로 스승 삼고 바위는 벗으로 여긴다. “소창자기”
문장의 구조는 주술 구조, 주술목 주술목 구조: 주어, 서술어, 목적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구조. 서술어가 앞에 놓이고 목적어 • 평생 동안 그대로였으면 싶은 것이 네 가지이니 첫째는 푸른 산, 둘째는 오랜 친구, 셋째는 장서, 넷째는 화
구조, 주술보 구조, 주술목보 구 가 뒤에 놓임. 초다. “소창자기”
조 등으로 분류한다.
吾〔주어〕 + 讀〔서술어〕 + 未見書 〔목적어〕. • 저잣거리 가운데 살면서도 마땅히 그림을 걸어 산수를 대신하고 화분에 경치를 담아 동산을 대신하며 책
‘문장의 구조’를 학습할 때
 故人의 명복을 빌다. 에는 문장 구조 분석하기, 으로 벗을 대신한다. “유몽영”
故人 ① 죽은 사람 ▒ 見已讀書, 如逢故人. 어순에 유의하여 문장 독
❷ 오랜 친구 견이독서 여 봉 고 인 해하기, 허사의 쓰임에 유 《조선 후기의 청언 작품》
 천리 타향에서 故人을 만나다. 이미 읽은 책을 보는 것은 옛 친구를 만난 것과 같다. 의하여 문장 독해하기, 비
교•분석하기 등 다양한 • 화는 입에서 생기고, 근심은 눈에서 생기고, 병은 마음에서 생기고, 허물은 체면에서 생긴다. “청성잡기”
會 ① 모이다  會談 ▒ 閉門, 閱會心書,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
❷ 맞다  會意 폐 문 열회 심서 할 수 있다. • 일 없는 낮에는 흰 하늘을 보고 일 없는 밤에는 눈을 감는다. 흰 하늘을 볼 때는 마음이 평탄해지고 눈을
문을 닫고서 마음에 맞는 책을 읽고, 감을 때는 마음이 평온해진다. “이목구심서”

▒ 開門, 迎會心客,
개문 영 회 심 객
문을 열고서 마음에 맞는 손님을 맞이하며,

▒ 出門, 尋會心境, 此乃人間三樂.
출문 심 회 심 경 차 내 인 간 삼 락
문을 나서서 마음에 맞는 장소를 찾는 것, 이것이 바로 인간의 세 가지 즐거움이다.

❶ 문을 닫고서 마음에 맞는 책을 읽는 것
❷ 문을 열고서 마음에 맞는 손님을 맞이하는 것 ‘나’의 정서 순화에 도움을 준 시, 영화·연극, 노랫말, 책에서 인상 깊은 구절 등을 찾아 써 보고, 나만의 책갈피를
❸ 문을 나서서 마음에 맞는 장소를 찾는 것
만들어 보자.


장르
이해하기


청언(淸言)은 ‘마음을 상쾌하게 하는 잠언’으
로 격언(格言)과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하 인상 깊은 구절
지만 과도한 도덕적 훈계나 강한 교훈적 내용을
담고 있지는 않다. 선인들은 자신의 삶 속에서 또
는 사회적 고민이 있을 때 청언과 같은 마음을 맑
게 해 주는 짧은 글을 지어 스스로 慰安을 삼았다.
대표적인 청언소품으로는 명말청초(明末淸初)의 작품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 시기는 이민족
구절을 선택한
의 지배 아래 지식인들의 자존과 도덕적 삶에 대한 懷疑가 짙게 깔려 있던 시대였다. 그러한 세상
이유
慰安(위안): 위로하여 마음을 편하게 함.
에서 자신을 경계하기 위하여 청언 문학이 탄생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조선 후기에 이덕무, 성
懷疑(회의): 마음속에 품고 있는 의심.
대중 등이 다수의 청언 작품을 썼다.
- 학생작
60 Ⅱ. 짧은 글, 깊은 생각 6. 마음을 맑게 하는 글 P 61






고등한문_교사용지도서_2단원.indd 60 2017-08-31 오전 11:34:04
   1   2   3   4   5   6   7   8   9   1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