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지도서
P. 12

참고 자료
• 사회적 기업 인증 현황: 2007년 55개 기업에서 2016년 1,713
개 기업으로 증가하였음.
진로 활동 되짚어 보기
스토리 사회적 기업(Social Enterprise)이란? • 사회적 기업의 고용 창출: 3만 6,858명이 사회적 기업에서 근
무하고 있으며, 이중 2만 2,647명이 취약 계층임(2016년 기준).
• 사회적 기업의 사회 공헌: 서비스 수혜자는 1,600만 명이며, 사
회 재투자 금액은 715억 3,800만 원임(2014년 기준).
출처: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보고서
56~57쪽의 활동 과정을 스스로 평가해 보자.
직업 세계는 사회 제도와 정책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사회적 기업의 등장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우리나라는
2000년대 들어 ‘고용 없는 성장’이 심화되었고, 복지·의료·교육·고용 등 사회 서비스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
평가 기준 자기 평가
다. 이러한 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부는 2007년 7월부터 「사회적 기업 육성법」을 시행하여 정책적으로
미래 직업 세계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직업을 상상할 수 있다.
사회적 기업을 확산시키고 있다.
사회적 기업은 이윤 추구보다는 ‘착한 소비, 따뜻한 일자리’라는 사회적 목적을 실현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미래 직업 세계가 요구하는 인재상을 알 수 있다.
고용 없는 성장과 저출산·고령화 심화에 따른 고용 불안정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사회 서비스 제공형 미래 사회의 인재가 되기 위해 자신이 갖추어야 할 능력과 실천 계획을 써 보자.

취약 계층에게 사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사례: 충남교육연구소 갖추어야 할 능력 실천 계획
교육을 필요로 하는 지역에 인력을 배치하고,
그 인력을 적절한 형태의 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한다.


일자리 제공형
취약 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기업
사례: 메자닌아이팩
수익 창출과 더불어 북한 이탈 주민이 빈곤층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일자리를 제공한다.

혼합형
우리가 알아야 할 학과 정보
취약 계층에게 일자리와 사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수명 연장의 시대, 미래 전망 밝은 의료공학과 워크넷 학과 정보에서 ‘취업률 상위 20% 이상의 학과’와 줌학과 인터넷 관심도(event.zum.com/2015univ)
사례: 행복도시락
에서 ‘3년 연속 관심 상승 학과’를 토대로 19개의 학과를 선정하였다.
무료 도시락을 만들어 결식 이웃에게 배달하고,
취약 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한다.
1. 의료공학과는 무엇을 배우는 학과인가요?
기계나 장비 등 정교한
지역 사회 공헌형 → 전자 의료 기기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인공뼈, 인공 장기와 같은 인공 재료
것을 조작하는 것에 흥미가
지역 사회에 공헌하는 기업 를 공부한다. 일반 생리학, 인체 해부학, 의료 공학 개론, 기초 전자 공학, 방사선 이론, 컴퓨 있어야 하고, 분석하며
측정하는 일을 좋아하는
사례: 하늘땅영농조합 법인 터 구조, 생체 조직 공학, 임상 의공학, 의학 영상 시스템, 치료 기기학 등의 과목을 배운다.
사람에게 적합해요.
지역 사회의 시설과 인적 기반을 활용한 농산물 관련 사업을
통하여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킨다. 2. 졸업 후 어떤 분야로 진출할 수 있나요?
→ 병원 등의 의공실, 치과 기공실, 의료 기기 개발·제조 업체, 의료 기기 관련 연구소, 전기·
기타형
전자 관련 연구소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사회적 목적의 실현 여부를 계량화하여 판단하기 어려운 기업
사례: 아름다운가게 3. 진학을 위해 준비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요?
물건의 재사용과 순환을 통해 사회의 변화를 추구하고,
나눔의 도움이 필요한 이웃들에게 공익 활동을 지원한다. → 컴퓨터나 전자 장비 등 각종 기계나 장비에 흥미를 가져야 하고, 의학 분야도 함께 배워야 하
므로 생물이나 화학, 물리 등 자연과학 과목도 충실히 공부해야 한다.

오늘날 정부가 정책적으로 사회적 기업을 ※ 유사 학과 의용전자공학 전공, 의용메카트로닉스 전공, 한방의료공학과, 의용공학과, 의공학과 등이 있다.
육성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출처: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www.socialenterprise.or.kr) ※학과 인터뷰 동영상 자료 커리어넷(www.career.go.kr) → ‘의료공학과’ 검색 → ‘의료정보공학과’ → 학과 인터뷰


58 1. 변화하는 직업 세계 이해 5959
58 Ⅱ. 일과 직업 세계 이해Ⅱ. 일과 직업 세계 이해
1. 변화하는 직업 세계 이해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