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2 중학교 기술가정① 지도서
P. 272







7 생산 기술과 제조 기술의 세계



꿈 & 끼
첨단 로봇, 사이보그 올림픽!
2016년 10월 8일 스위스 취리히에서 사이보그 올림픽(사이배슬론)이 열렸다. 이 대회는 중
증 장애를 가진 선수들이 그야말로 영화처럼 로봇 몸을 갖추고 승부를 겨루는 대회이다.
인간에 가까운 로봇은 우리나라 대표로 이 대회에 참가한 하반신 장애인인 김병옥(42) 씨는 서강대 연구팀과 오랫
동안 이 대회를 준비하여 연습해 왔다. 아이언맨처럼 입는 로봇을 착용하고 앉기와 서기, 장애
물 통과, 징검다리 건너기, 계단 오르내리기 등의 종목에 도전하였다.
정말 만들어질 수 있을까? 뿐만 아니라 이 대회에는 의수, 전기 휠체어, 로봇 골격, 뇌파 인식 등 최신 로봇 공학 기술
이 총동원되어 현대의 로봇 기술이 어디까지 와 있는지 진수를 보여 주었다.
※출처: <연합뉴스> 재구성, 2016.10.7.
로봇 제작의 역사
최초의 로봇이라 할 수 있는 것은 1927 진화하는 우리 로봇, 휴보 1등을 먹다!
년 미국에서 출시된 텔레박스이다. 이는 걸 순수 국산 로봇 휴보(DRC휴보Ⅱ)가 2015년 6월 미국 다르파에서 열린
려오는 전화에 대해 일정한 응답이 가능한
세계 재난로봇 경진대회에서 1등을 차지하였다. 이 대회에 참가한 로봇은
수준의 로봇이었다. 이후 텔레박스를 바탕 인공 지능, 인간을 뛰어넘을 수 있을까?
차량 운전, 하차, 문 열기, 냉각수 밸브 잠그기, 전동 공구로 벽 뚫기, 특별
으로 이보다 좀 더 진보한 수준의 걷고 말하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 ‘로보월드 2011’
고 윙크하는 로봇 윌리가 만들어졌다. 한편 과제, 장애물 빠져나오기, 계단 오르기 등의 여러 임무를 수행해야 하는데 개막식에서 소개한 로봇 ‘키보’는 사람처럼
1999년 일본에서 애완용 로봇 강아지 아이 여기에서 휴보가 1등을 차지한 것이다. 울거나 웃고 찡그리는 등의 표정을 짓고,
보가 만들어져 상용화됨으로써 본격적인 로 2004년 탄생한 휴보는 진화를 거듭하여 마침내 2015년 세계 재난로봇 사람의 얼굴과 위치, 움직이는 물체, 음성의
봇 시대를 열기도 하였다. 우리나라도 이에 경진대회에서 감격의 우승을 차지한 것이다. 무엇보다 휴보에게 기대되는 방향을 감지할 수도 있다. 만일 키보가 더
고무되어 2004년에 인간형 로봇 휴보를 개 진보한다면 사람의 감정
것은 재난 발생 시
발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초창기의 휴보는 을 파악하고 반응하는 일
그저 뒤뚱뒤뚱 걷고 춤추는 정도의 수준에 인간을 대신하여 로 이 가능해질 것이다.
인공 지능 시스템이 인
지나지 않았다. 봇이 재난 현장에 들
로봇은 외부 환경을 간 전문가의 판단을 대체
감지기를 통해 인식하고, 어가 구조하는 날이
하는 영역은 크게 늘어나
상황을 판단하여 자율적으로 다가온다는 점이다.
동작하는 지능 기계 고 있고, 현대 정보 통신
시스템이야. 기술의 발전 속도라면 인
간 지능에 맞먹는 인공 지
능의 등장은 그리 멀지 않
은 것 같다.
로봇이 요리하는 시대가 오다
※출처: KISTI, 2012.
영국의 로봇 개발 회사인 ‘몰리 로보틱스’는 오랜 연구 끝에 요리하는 로
봇 팔을 만드는 데 성공하였다. 이 요리하는 로봇 팔은 실제 요리사들의
손놀림을 3D 영상으로 찍어 로봇이 움직임을 따라 하도록 설계되어 웬만 드림 씨어터
한 요리는 다 할 수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개발한 가사 도우미 로
Q1. 로봇 휴보가 진화되는 모습을 보고 느낀 점은 무엇인가?
봇, 미국에서 개발한 피자 조리 로봇 등도 나오고 있어, 머지않아 로봇이 Q2. 지금의 기술 수준으로 볼 때 인간에 가까운 로봇은 정말로 만들어질 수 있을까?
주방을 차지하는 시대를 맞이할 전망이다.
7. 생산 기술과 제조 기술의 세계
220 꿈 & 끼
221
221
220
로봇 • 지능형 로봇 중 겉모습이 사람과 닮아 머리, 몸통, 팔, 다리가
로봇은 인간을 모방하여 외부 환경을 센서를 통해 인식하고, 있는 로봇을 ‘휴머노이드’, 외관이 인간과 매우 닮은 모습을 하
상황을 판단하며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지능 기계 시스템이다. 고 있는 로봇을 강조해 ‘안드로이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로봇은 주로 제조 현장의 위험하고 어려운 작업 환경에서 인간
사이보그
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
• 사이보그는 대체로 생명체의 부족함(또는 장애)에 기계의 장
인간 오감 아이디어 손, 팔, 다리, 표현
인간과 점을 보완하거나 생명체의 장점과 기계의 장점을 더욱 극대
로봇 기술의 외부 환경 인식 상황 판단(think) 자율 동작(act) 화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인간의 지적 능력은 대행될 수 없
비교 로봇
(sense)
다고 보기 때문에 뇌 이외의 수족이나 장기 등을 교체한 개
현재는 인간의 지능을 분담하는 인공 지능을 갖추고 인간과 조 인간만이 사이보그로 지칭된다. 즉, 사이보그란 로봇과는
공존하는 동반자 로봇으로 발전하고 있다. 달리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기술로 탄생시킨 것이다. 인공 심
장이나 인공 관절을 이식받은 사람들도 일종의 사이보그라고
할 수 있다.
로봇의 종류
• 로봇은 산업용 로봇과 지능형 로봇으로 나눌 수 있으며, 산업
용 로봇은 생산 공장에서 인간의 노동을 대신해 조립, 용접 등
의 노동을 수행하는 (반)자동화된 로봇이다.
• 산업용 로봇은 쓰이는 곳에 따라 공업용, 의료용, 가정용, 농업
용, 전투용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대부분의 산업용 로봇은 관
절이 있는 로봇 팔을 가지고 있으며, 피스톤 운동이나 모터를
이용해 움직인다. 손에 해당하는 부분에 특수한 장치를 붙여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다.
• 주변 환경을 스스로 인식한 후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고 결정
하는 로봇을 ‘지능형 로봇’이라고 부른다.


7. 생산 기술과 제조 기술의 세계 대단원 마무리
270 271





중등기술가정지도서-3차제출.indb 270 2017-07-28 오후 1:02:0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