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9 중학교 기술가정① 지도서
P. 269








2차시



2 제조 기술 문제의 창의적 해결 2 어떻게 해결할까
↳ 무전원 스피커 만들기
길잡이 스마트폰의 소리가 흩어지지 않게 음악을 감상할 수 있을까? 정보 수집 주재료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스피커의 소리를 진동시키는 정도가 다르다. 또한 스피
커의 울림통의 형태, 소리가 나오는 출력부의 개수나 위치 등에 따라 스피커의 기능이
달라진다.
가공할 수 있는 재료와 특징, 울림통의 형태, 출력부의 개수나 위치 등을 책이나 인터
4~5명으로 모둠을 만들어 문
1 무엇이 문제인가 제 해결 활동을 함께한다. 넷 등으로 조사해 보고, 다양한 무전원 스피커를 검색해 보자.
 정보 수집 결과
문제 상황 연우는 좋아하는 가수들의 음악을 스마트폰
전선으로 연결해야 하는 재료와 특징 목재(집성재)는 가공이 쉽고, 울림이 좋다.
헤드폰이나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고, 에 저장해 두고 공부를 하면서 듣곤 한다. 그런 울림통의 형태 울림통 판의 크기가 크고, 두께가 얇으면 진동이 크다.
스마트폰의 스피커만으로 간편하게 데 책상 위에 스마트폰을 두면 음색이 흩어져 출력부의 개수와 위치 출력부의 개수가 1개일 때 소리와 방향성이 크고, 2개일
음질 좋은 음악을 들을 수는 없을까? 선명하지 않고, 소리가 작아지는 느낌이 들었다. 때 소리가 입체적이다.
살펴보니 스마트폰의 스피커 위 그림 7-21 다양한 스마트폰용 무전원 스피커
치 때문에 소리가 한곳으로 모
아이디어 창출 무전원 스피커는 어떻게 만드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지 다양한 확산적 사고 기법을 이
이지 않았다. 또 울림통의 진동 용하여 다양한 아이디어를 만들어 낸다. 이 중 적절한 아이디어를 선택하여 아이디어
이 없어 소리가 작았다. 스케치를 해 보자.
그렇다고 헤드폰을 이용하자니
제품 디자인
거추장스럽고, 따로 스피커를 꽂
아이디어 1 아이디어 스케치 1 아이디어 2 아이디어 스케치 2
아 사용하자니 충전기를 꽂을 전
•울림통이 크도록 가로로 길게 만든다. •울림통을 앞으로 길게 만든다.
원을 연결하는 것이 불편하였다.
• 소리가 입체적으로 들리게 하기 위해 • 소리가 곧게 나오도록 소리 나오는
소리가 나오는 곳을 2개로 한다. 곳을 1개로 한다.
• 소리가 부드럽게 진동하도록 바닥을 •가공과 조립을 간단하게 한다.
살짝 띄운다.
문제 탐색 위의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연우는 책상에 앉아 스마트폰의 스피커만으로 음악 목재, 폼보드, 아크릴 판 등 아이디어 창출에는 마인드맵, 스캠
을 들을 수 있고 스마트폰을 꽂아 두는 기능도 있는 무전원 스피커 제품을 만들어 보 제품 재료 대안 퍼, 강제 결합법, 브레인스토밍 등의
확산적 사고 기법을 활용한다.
기로 하였다.
우리 모둠이라면 어떻게 할까?
위와 같은 무전원 스피커를 만들기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무전원 스피커
그래!
무전원 스피커를 의 기술적 문제의 핵심은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진동을 통해 소리가 증폭되는 울림통을 만들어 무전원 스피커를 만들기 위한 정보를 수집해 보고, 다양한 확산적 사고 기법을 이용하여 우리 모둠의 아이디어를 만들어 보자.
만들어 보자. 스마트폰에서 나오는 소리를 모아 밖으로 내보내는 것에 달려 있다. 그 밖에도 연우가 바라는
무전원 스피커를 만들려면 어떤 문제를 해결해야 할지 생각해 보자. 정보 수집 결과 아이디어 아이디어 스케치
• 스마트폰의 소리가 새어 나가지 않게 울림통으로 모아 소리를 증폭시켜야 한다.
•스마트폰의 크기와 스피커가 붙어 있는 위치를 고려하여 제작해야 한다.
•스마트폰을 꽂아 둘 수 있어야 한다.
• 필요한 기능에 알맞은 특성을 가진 재료를 선택해야 한다.
7. 생산 기술과 제조 기술의 세계
215
214 04. 제조 기술의 문제 해결
214
215
우리 모둠이라면 어떻게 할까? ⇨ 지도상의 유의점 | 학생들이 도전 과
점검 포인트 | 사례를 읽어 보고 소비자의 입장과 제조사의 입장에서
토의를 하도록 지도한다. 제에 따라 인터넷이나 책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한 결과를
기업은 소비자의 입장에서 제품을 설계하고 보완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 정리해 보도록 한 후, 아이디어를 구현하기 위한 적합한 재료를 탐색해
예시
답안 울이기 힘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의 입장에서 제품의 편의와 보도록 지도한다.
효율성, 내구성, 제품의 결함 등을 고려하여 제품을 기획해야 한다. 또한 소비자
의 안전과 건강 보호는 제품의 가장 필수적인 부분이므로 지속적인 품질 관리 예시
답안
를 통해 개선해야 한다. 정보 수집 결과
• 가공이 쉽고 진동의 울림이 좋은 소재를 선택해야 한다.
소주제 ❷와 길잡이
• 울림통의 형태는 울림통 재료가 얇을수록, 울림통의 판의 크기가 클수
지도상의 유의점 | 스마트폰의 소리가 흩어지지 않게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다양 록 진동이 크므로 이를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한 방법을 찾아보도록 지도한다.
• 출력부의 개수에 따라 소리의 방향성과 입체감이 다르므로 이를 고려
하여 디자인을 설계한다.
소리의 성질과 원리
아이디어 아이디어 스케치
소리는 어떤 물질이 떨리고 그 떨림이 다른 물질을 타고 퍼져
나가는 현상이다. 떨림을 다른 말로는 진동이라고 하며, 진동의 • 재료: 폼보드, 포맥스
전달을 위해서는 진동을 전달해 주는 매질이 필요하다. 소리를 등
• 울림통 판이 크도록 디
전달해 주는 대표적인 매질은 공기이다.
자인 설계를 하고 입체
소리를 발생시키려면 진동을 만들어 주어야 하는데, 가장 쉬 디자인 아이디어 1
감이 크도록 출력부는 2
운 방법은 물체를 두드리는 것이다. 책상과 같은 물체를 두드리 개를 둔다.
면 책상 고유의 소리가 발생한다. 물질이 얼마나 빨리, 얼마나
크게, 그리고 어떤 형태로 진동하는지에 따라 각각 다른 소리가
만들어진다. 진동의 빠르기에 따라 높은 소리와 낮은 소리를 구
디자인 아이디어 2
분할 수 있고, 진동의 크기에 따라 큰 소리와 작은 소리를 구분
할 수 있다. 또한 진동하는 형태에 따라 소리를 내는 물체의 특

징을 알 수 있다.

7. 생산 기술과 제조 기술의 세계 04. 제조 기술의 문제 해결
266 267





중등기술가정지도서-3차제출.indb 267 2017-07-28 오후 1:02:00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