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1
P. 181
ࣁࠗ بউ 전개
2-1 문제 탐색 내용 파악
2. 건강한 직업의식 형성
ण ઁ ߂ ण ߑߨ উղ
사무직이나 관리직이 최고라는 직업에 관한 편견이나 남자와 여자가 가져야 할 직업
편견
03 직업에 관한 고정관 념은 어떤 영향을 미칠까? 이 다르다는 고정관념은 건강한 직업의식의 형성을 방해한다. 공정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치우
친 생각 • 학습 주제인 ‘직업에 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알아보고, 이러한
우리가 직업에 관한 편견이나 고정관념을 가지면 자신의 적성이나 직업 가치관에 맞
직업에 관한 사회의 여러 가지 편견과 고정관념을 • 직업에 관한 잘못된 생각 찾아보기
학습 활동
목표 과제 는 직업 선택이 힘들어질 수 있고, 나아가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편견과 고정관념이 개인과 사회에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지 확인
제시하고, 그 문제점을 설명할 수 있다. •직업에 관한 나의 생각 점검하기
수도 있다. 따라서 청소년 시기에는 직업에 관한 편견이나 고정관념의 문제점을 파악 고정관념
이미 마음속에 굳게 자리 잡고
하고, 이를 극복하여 자신이 좋아하고 잘할 수 있는 직업을 탐색하면서 건강한 직업의 있어 어떤 상황에서도 쉽게 바 한 후, 관련 활동을 안내한다.
열려라!
생각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 식을 형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뀌지 않는 생각
ղਊ ೧ࢸ
‘어디를 가든 주목받으면서 화려하게 살면 얼마나 행복할까?’ 서연이는 어려서부터 텔레비전
에 등장하는 연예인의 삶을 동경하면서 인기 연예인이 된 자신의 모습을 꿈꾸어 왔다. 그런데 직업에 관한 잘못된 생각의 영향 (1) 본문 상단 내용 해설
오늘 한 연예인의 일상을 다룬 다큐멘터리를 보면서 깜짝 놀랐다.
• 사람들은 직업에 관한 적절하지 않은 의견이나 정보를 가지고
잘못된 생각 나쁜 영향 올바른 생각
데뷔 전에 7년 동안 직업과 직업인을 판단한다. 어떤 직업을 가졌느냐에 따라 신분
연습생이었지만, 지금도 방송이나
공연이 없으면 매일 이나 지위를 구분하기도 한다. 청소년의 경우 다양한 미디어에
연습을 해요. 경쟁이 얼마나 힘들더라도 보람과 만족을 느낄 수
치열한지 잘 아니까요. 역시 사무직이나 관리직이 최고지. 사회에 꼭 필요한 직업의 가치가 낮게
평가되고, 인력의 불균형이 발생한다. 있다면 좋은 직업이야.
노출되면서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를 왜곡해 받아들여 직업에
남자와 여자에게 어울리는 성별에 따라 기회가 제한되어 성별에 관계없이 직업에 적합한 관하여 잘못된 인식을 갖는다. 이는 건강한 직업의식의 형성을
직업은 따로 있어. 다양한 인재의 발굴이 어려워진다. 흥미와 적성, 능력을 갖추어야 해.
방해하여 진로 선택에 커다란 걸림돌이 된다. 그러므로 올바른
어떤 직업이든 경제적 이익을 위해 비양심적인 정당한 노력으로 보람과 긍지를
돈만 많이 벌 수 있으면 돼. 행동을 하는 직업인들이 나타난다. 얻을 수 있는 직업을 찾아야 해. 직업 가치관과 건전한 직업의식을 가지도록 노력해야 한다.
몸이 불편하면 직업을 가지기 각 직업 분야에 적합한 인력이 몸이 불편해도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2) 본문 하단 내용 해설
어려워. 장애를 이유로 낭비된다. 분야는 얼마든지 있어.
• 직업에 대한 잘못된 생각으로는 우리나라의 전통 유교 사상에
업무와 상관없이 높은 학력이
사회에서 성공하려면 요구되고, 입시 경쟁 및 사교육이 출신 학교보다는 무엇을 배웠고, 어떤
좋은 대학을 나와야 해. 심화된다. 일을 잘 해낼 수 있는지가 중요해. 따른 성 역할 고정관념, 학력에 관한 고정관념, 사무직과 생산
대중 매체가 제공하는 정보만으로
텔레비전에 나오는 직업이나 직업인을 판단하는 어떤 직업을 판단할 때는 그 직업이 실 직에 관한 고정관념 등이 있다.
보고 서연이가 연예인이라는 직업에 관해 가지고 있던 잘못된 생각은 무엇일까? 멋진 직업을 가져야지. 사람들이 나타난다. 제로 하는 일을 기준으로 해야 해.
묻기
• 전통적으로 남성 혹은 여성만이 할 수 있는 직업이 따로 있다고
80 Ⅱ . 일과 직업 세계 이해 2. 건강한 직업의식 형성 81 믿는 것, 육체적인 일은 천시하는 것, 대학을 나와야만 직업에
서 성공할 수 있다고 믿는 것 등도 잘못된 생각이다.
• 또한 장애인, 외국인 노동자, 북한 이탈 노동자 등 사회적 소수
ଵҊ ܐ 자에 관한 편견과 고정관념의 예도 있다.
• 미디어의 발달로 연예인 등 특정 직업의 화려한 면만 부각되어
è সী ҙೠ ಞѼҗ Ҋҙ֛ ೧ࢸ 잘못된 판단을 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 사무직 선호의 편견은 옛날부터 과거에서 문과를 선호하고 무과나 잡 • 이러한 잘못된 생각이 어떠한 문제를 일으킬지 생각해 보도록
과는 상대적으로 선호하지 않았던 부분과도 맞물리며, 사무직이 편할
하고 다양한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것이라는 인식으로 인해 직업에 관한 편견이 있으나 요즘에는 생산직
이나 기술직, 영업직 등이 전문성을 가지며 선호도가 높아졌다. ز࢚ ܐ
• 사회적으로 지위와 보수가 높고 편한 직업에 관한 선호도가 높은 것이 • EBS, 「지식채널e」, ‘494,011개의 꿈’(4분 27초) - 직업 선호에 대한
일반적이지만, 무엇보다 자신의 흥미와 적성, 가치관이 고려되지 않은
편견을 다룬 동영상
직업은 만족도가 떨어진다.
8 www.ebs.co.kr/tv/show?prodId=352&lectId=3005448
• 사회적 소수자라고 하더라도 적합한 역할에 따라 능력과 역량을 발휘
할 수 있으므로 편견이나 고정관념을 가지지 않도록 한다. ↟ب࢚ ਬ↟
ز࢚ Үਭ ܐ • 직업에 관한 잘못된 생각을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도 함께 설명
한다.
• EBS, 「역사채널e」, ‘세상에 버릴 사람은 아무도 없다’(4분 52초):
• 직업에 관한 편견과 고정관념 및 비합리적인 사고가 진로 선택 시 자
장애인 직업인에 관한 편견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신의 잠재력과 발전 가능성을 저해함을 이해하도록 한다.
판서 정리
•직업에 관한 잘못된 생각의 예
•직업에 관한 잘못된 생각의 문제점
•직업에 관한 잘못된 생각을 극복하는 방법
Ⅱ. 일과 직업 세계 이해 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