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1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191









7 사용자 경험 디자인


사용자 경험 디자인이란 사물 간 또는 사물과 인간 간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일시 하나 더 알기
적 혹은 연속적인 접근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물리적, 가상적 매개체를 의미한다. 사

용자의 편의와 정확한 동작을 유도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 사이에 합리적인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UI 디자인
스마트폰 디자인의 특성
UI(User Interface) 디자인은 사용자가 제품을 어떤 방식으로 이용하도록 만드느 • 작은 기기에서 이동 중에 많은 기
능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UI
냐를 디자인하는 것을 말한다. 어원 그대로 해석하면 사용자에게 최적화해 주는 디 를 구성
자인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 터치스크린 방식이므로 손가락
터치 영역과 스크롤 방식을 고려
• 작은 화면에서 최대한 효율적으
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
❸ 페이지 숫자를 따로 입력하지 않아도 하는 것과 조작의 편리성을 고려
❶ 정보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크게 배치함으로 하나의 점에 차별화된 색상을 표기함 한 레이아웃이 중요
써 문자나 숫자를 확인하지 않아도 이미지 으로써 페이지의 위치를 알 수 있다. • 화면의 상단이 가시성이 좋으므
자체만으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로 사용자의 시선이 위에서 아래
로 이동하도록 구성
• 충분한 터치 영역을 제공
❷ 손가락 하나로 모든 것을 해결하고 싶어 ❹ 자주 사용하는 앱 아이콘을 하단에
하는 앱 유저들은 직관에 의하여 판단하고 배치함으로써 사용자는 이 기능들을
결정한다. 명쾌한 이미지 하나로 분명한 메 더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
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빠르게 시선을 사로
잡고 더 많은 것을 이야기할 수 있는 방법
이다.

모바일 인터페이스 디자인

UX 디자인

UX(user experience) 디자인은 사용자가 어떤 시스템이나 제품, 서비스를 직간접
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게 되는 지각과 반응, 행동 등 총체적 경험을 말한

다. 사용자의 경험을 더 멋지게 만든다는 면에서 넓은 의미의 경험 디자인이라 할 수 하나 더 알기
UI와 UX 디자인의 차이점
있다.
UI가 고객이 서비스를 쉽게 이용하
게 하는 기술적인 부분이라면 UX는
내비게이션 바
상단에 위치한 내비게이션 바를 이용하여 손쉽게 고객이 서비스를 이용할 때 어떤 감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 정을 갖고 있는지를 표현해 주는 감
아이콘 이미지 성적인 부분으로 UI보다 좀 더 포괄
캠코더 모양의 아이콘을 이미지 상단에 표시함으로써 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즉, UI
동영상 이미지라는 것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가 사용자에게 보여서 접근하는 길
메인 이미지 을 연다면, UX는 이용하면서 느끼는
메인 이미지를 화면 중간에 나오도록 크게
배치하여 보다 쉽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경험을 말한다.
UI 디자인과 UX 디자인은 분명히 다
메뉴 버튼
른 개념이지만 궁극적으로는 서로
앱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메뉴를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보다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보완 관계로 작용할 때 고객이 만족
화면 하단에 위치하였다.
할 만한 서비스로 발전할 수 있다.



5. 새로운 개념의 디자인 189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