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1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291









3 디자인 계획


많은 사람이 디자인을 하나의 결과물로 생각하지만 디자인은 말 그대로 계획이 하나 더 알기
다. 디자인 계획은 집중적인 노력을 가능하게 하며, 단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가 문서화
디자이너는 전체적인 전략과 종합
장 좋은 수단이다. 주택 설계도, 플로 차트, 영화 대본과도 같으며 계획을 완벽하게 적인 계획이 들어가는 기획 문서를
만들어야 한다. 문서로 요약해 두면
하면 창조와 적용 단계로 부드럽게 넘어갈 수 있다. 클라이언트가 디자이너의 생각과
결정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리서치를 통하여 수집, 분석된 정보 자료를 바탕으로 클라이언트가 달성하고자
때문이다.
하는 목표를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찾아 디자인 방향과 키워드를 도출한다. 그리고
크리에이티브 브리프
디자인 콘셉트를 설정하여 구체적인 디자인 계획을 잡는다. (Creative Brief)
광고 제작과 관련하여 모든 사람에
게 지침이 되는 문서화된 광고 제
작서를 말한다. 이 문서는 정확하
고 간결하면서 일관된 형태로 작성
되어야 한다. 크리에이티브 브리프
작성의 목적은 디자인 해법의 사용,
창조, 심사에 관계하는 모든 사람이
해당 프로젝트를 빠른 시간에 검토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광고주/Client AE 제작-No
상품명/Brand 리뷰일/Review 제시일
환경 디자인 계획서 실내 디자인 계획서
1. 제품의 주요 특성/Key Characteristics of the Brand
2.시장 상황, 문제점, 기회/Market Problem &
Opportunities
3. 목표 집단/Target Audience Profile(Dernographics,
Life-style, Attitude etc.)
4. 이 광고의 성취 목표/What is This Ad Intended to
Achive?
5. 주 소구점 및 근거/The Single Minded Proposition
6. 바람직한 상표 이미지/Designed Brand Personality
7. 광고 시기 및 활용 매체/Suggested Media & Timing
8. 필수 요구 사항(로고, 주소 등)/M an dator y
시각 디자인 계획서 패션 디자인 계획서 Inclusions





디자인 더 깊이 서비스 디자인에서 많이 사용되는 더블 다이아몬드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은 2005년 영국 디자인 협회에서 발표한 디 문제 해결
자인 모델로, 수많은 디자인 방법론 중 가장 기본이 되는 형태이다.
UX전략
1. 발견(Discover): 사용자의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문제를 발견한다. 발견 정의 개발 전달
2. 정의(Define): 모델링을 통하여 문제의 원인을 정의한다. 발견
단계에서부터 생성된 많은 아이디어를 집약하는 단계를 거친다.
3. 개발(Develop): 원인이 밝혀졌으면, 방법을 찾기 위하여 아이 문제 발견 문제 정의 발전 및 개발 적용 및 실행
문제 진단 구체화 제안 프로토타입 결과물 도출
디어를 리뷰하고 다양한 관점으로 폭넓게 브레인스토밍을 한다. 이해 내용 분류
아이디어 수립
4. 전달(Deliver): 최종 결과물을 고객에게 전달한다. 문제점을 발견하고, 정의하고, 해결책을 개발하고, 고객들에게 전달하는
디자인 프로세스

2. 디자인의 전개 과정 289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