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0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300










4 디자인 제시

가장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 방법은 무엇일까?




디자인 시안을 만들고 테스트를 진행할 때에는 동료 디자이너와 아트 디렉터, 크 하나 더 알기
리에이티브 디렉터, 클라이언트 등과 많은 대화를 나누어 문제점을 미리 파악하여 프레젠테이션의 뜻
프레젠테이션은 발표자가 목표를
해결해야 한다. 달성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어떠한 사실이나 정보, 자신의 의견
또한 현재 진행 상황에 대하여 클라이언트의 확실한 지지를 받아야 한다. 그런 다 등을 전달하고 설득하는 작업이다.
음에는 클라이언트가 디자인을 정확히 볼 수 있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 프레젠테이션의 목적

록 프레젠테이션 준비를 충분히 한다. 프레젠테이션은 디자인, 아이디어,
설계, 결과물을 클라이언트에게 설
득력 있게 전달하기 위하여 관련 자
료, 정보, 설계 내용을 시각화하여
1 디자인 프레젠테이션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유도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디자인 작업 결과를 발표하는 프레젠테이션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디자인 과제를
내용 시각화 전달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자신의 생각을 정확하게 효율적 Contents Visualization Delivery

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차별화된 발표 자료를 구성하고, 언어, 발표 자세 등의 전달
프레젠테이션 대상
능력을 사전에 계획해야 한다. 프레젠테이션은 클라이언트가 원하
는 바를 분석하고 사전에 합의된 목
스토리보드를 사용하여 이야기를 만드는 영화 제작자, 애니메이션 작가, 만화가, 표와 의도를 정확하게 전달하도록 충
작가들처럼 프레젠테이션에서도 서론, 본론, 결론 순서로 스토리를 구조화하는 것이 분히 이해할 수 있게 구성해야 한다.
효과적이며, 단순화, 시각화하여 프레젠테이션을 기획하고 제작한다. 발표자
청중의 적극적
프레젠테이션 리허설을 통하여 발표 환경을 점검하고 발표 시간을 맞춰 보며 발 소통 관여 의사
원활한
결정
커뮤니케이션
표의 전체적인 흐름이 자연스러운지를 확인해야 한다. 간혹 리허설을 번거롭게 여기 청중
거나 귀찮게 여겨 회피하는 사람이 있는데, 머리로만 연상하는 상상의 리허설보다
는 실제 리허설을 통하여 발성을 해 보고 동작까지 연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젠테이션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개선점 등을 리포트 형식으로 제작한다.


프레젠테이션의 구조와 내용 프레젠테이션 핵심 정리

1 분위기를 이끌어 내는 서론 기승전결과 같은 1
구조화
프로젝트 배경, 클라이언트의 요구 사항,
개발 동기, 사회적 현상 등 이야기 흐름으로 구성

단순화
2 근거를 제시하는 본론 간결한 텍스트를 이용한 친절한 설명 2
내용의 압축, 요약형 문체, 키워드,
자료 조사, 분류, 분석, 통계,
프로젝트 개발 방향 등
3 클라이언트의 설득을 이끌어 내는 결론 심미적, 기능적 접근, 도표/다이어그램, 3
시각화
디자인 결과물, 시안, 후보안 A/B/C,
시제품의 특징, 의견 수렴, Q&A 등 인포그래픽, 사전 이미지, 동영상, 일관성

298 Ⅵ. 디자인의 방법 및 전개 과정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