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31
1 합목적성
디자인에서 합목적성이란 무엇일까?
디자인은 목적에 맞는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데 이를 합목적성이라 한다. 합목적 하나 더 알기
성이란 어떤 제품의 기능이 일정한 목적에 부합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목적이란 хࢿ ҕ
인간, 기계, 환경 사이의 상호 작용
실용상의 목적을 가리키며 이것을 ‘실용성’ 또는 ‘기능성’이라고도 한다. 을 생리적, 형태적, 지적, 감성적 부
분으로 분류하여 세부적으로 연구
디자인의 첫 번째 조건인 합목적성은 기능성의 문제라고 볼 수 있다. 기능은 인간 하는 분야. 과거의 인간 공학이 인간
이 생활하는 환경에 알맞은 효용성과 이것을 뒷받침하는 기술의 상호 관계에 대한 과 기계 시스템의 최고 성능을 실현
하는 것에 관심을 두었다면, 감성 공
결과라고 말할 수 있다. 학은 인간의 교육 수준, 경험, 민족
적·문화적 배경, 감수성 등의 요인
디자인에서 기능은 인간의 심리적·사회적 기능까지도 포함한다. 물리적 기능은 을 동시에 고려하여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는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사용자의 편리성을 고려한 물건의 성능, 구조, 견고성, 내구성 등을 말한다. 심리적
기능은 도구에 대한 인간의 심리적 욕구로 연령이나 성별 등에 의한 형태나 색에 대
한 기호, 장식적 욕구 등 심리적이고 감성적인 요구에 부응하는 것이다.
근래에는 이를 위한 감성 공학이라는 새로운 분야가 출현하고 있다. 또 사회적 기
능은 디자인된 물건이 공공장소에 놓이거나, 불특정 다수가 사용할 수 있어야 하는
사회적 존재로서의 의미를 말한다.
ࣻ࠙ ஏ झ݃ థ࠶۞ - 체내 수
분량과 물 섭취량을 측정하여 사용
자의 음용 습관을 변화시키는 제품으
로, 지속적인 건강 관리와 물 섭취 동
기 부여를 제공한다.
ழ࠳٘ UHD భۨ࠺ - 곡면 텔레비전은 기 시리얼이 눅눅해지지 않도록 디자인하여
존 텔레비전의 고정 관념을 깨고 다각면에서 시야 확 실용성을 갖춘 제품이다.
보가 용이하다.
بօ٘ ٘ਥҗ ਧܻষ झథ
(Donald Chadwik, William Stumf)
ীযۿ ࢎޖਊ (1992년 작) - 체
중을 균등하게 분산시키고 공기를
나무 계단을 수납장으로 디자인하여 실용성과 기능성을 접목하여 뽑기가 쉽게 디자인된 플러그이다. 순환시킴으로써 장시간 앉아 있어
공간을 활용한 제품이다. 도 쾌적함을 유지해 준다.
3. 디자인의 조건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