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6 고등학교 디자인 일반 교과서
P. 56
대단원 평가 문제
1 ‘디자인(design)’ 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발표 내용이다. 4 자연물을 디자인에 응용한 사례이다. 이에 대한 설명
바르게 설명한 것끼리 짝지은 것은? 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기
A: 디자인이라는 말은 라틴어 ‘데시그나레’에서 유래하
였습니다.
B: 프랑스의 ‘데생’과 어원이 같습니다.
C: ‘데생’은 ‘지시하다’, ‘표시하다’라는 의미입니다.
D: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부터 디자인이라는 용어
가 사용되었습니다.
① 자연적 형태를 이용해 기능적인 형태로 제작하
① A, B, C ② A, B, D ③ B, C, D 였다.
④ A, C, D ⑤ A, B, C, D ② 자연물의 기능을 적용하여 아름다운 형태로 형
상화하였다.
③ 자연물의 비례와 질서를 강조하여 재해석하였다.
④ 자연적 형태를 디자인의 중요한 근원으로 응용
2 우리나라 디자인 용어의 변천 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하였다.
것은?
⑤ 자연물에서 발전한 기하학적 형태이다.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① 도안, 의장 응용 미술 산업 디자인 5 디자인의 사회적 목적으로 옳은 것은?
② 상업 디자인 도안, 의장 응용 미술
① 국가 경제 성장의 수단
③ 도안, 의장 응용 미술 상업 디자인
② 일자리 창출
④ 응용 미술 산업 디자인 도안, 의장
③ 산업 성장과 수출
⑤ 산업 디자인 응용 미술 상업 디자인
④ 생활과 문화의 질 향상
⑤ 인간의 유희와 쾌락 만족
3 다음 내용에서 알 수 있는 디자인의 성립 요건으로 옳 6 다음 <보기>에서 파악할 수 있는 디자인의 조건은?
은 것은?
보기
보기
손잡이를 플라스틱으로 대체함으로써 저렴한 가위를
•기차는 빨리 달릴 수 있어야 한다.
생산, 공급할 수 있었다.
• 의자는 사람이 앉을 수 있어야 하고 앉았을 때 편안
해야 한다.
•휴대 전화는 어떤 장소에서도 통화가 잘 되어야 한다.
• 옷은 보온 효과가 있고 사람의 피부를 보호해 주어
야 한다.
① 형태 ② 목적 ③ 기능 ① 합목적성 ② 심미성 ③ 경제성
④ 재료 ⑤ 가공 기술 ④ 독창성 ⑤ 질서성
54 Ⅰ . 디자인의 개요